본문 바로가기
국내 여행/오른 山 & 들녘

팔공산아 너는 나를 부른다

by 하기* 2011. 10. 5.

 

 

 

 팔공산아 너는 나를 부른다

 

 

"왜 산에 오르느냐?"라는 질문을 해본다. 누군가는 산이 되려. 나무가 되려, 하늘이 되려 산에

오른다고 한다. 누군가는 내려갈  짧은 여유를 위해 그  힘듦을 즐긴다고 한다. 누군가는 산에

서 나 자신을 찾으려고 한다고,그리고 찾았단다. 답답하고 복잡한 일상사, 바람처럼 구름처럼

세상 시름 내려놓고 하늘과 자연과 하나 되여보자고.ㅡ(매일신문 이채근 기자)ㅡ 그렇다, 오늘

시월  첫째  화요일(10.04.) 우리가 팔공산 자락에서 만났다. 회장[허비]님이 앞장 섰던 1 陣은

대구 올레팔공산 7코스 폭포길 가는 길따라 염불암 쪽으로 획 돌았고, 2 陣의[하기]는 쥐뿔도

크지 않은데 바뿐척하며 혼자 케불카 능선타고 올라와 만댕이에서 폼잡곤 계곡으로 부지런히

걸어 내려와 일행과 합류했고. 엄청바빠서 도무지 올라 올 수가 없었는데 정말 보고싶어 이것

저것 손 놓고  급행버스 타고 하산주 하는 식당으로 곧장 올라온 3陣인[장갉]..모두가 만났다

   

                                                                                                       2011.9.5.  하기

 

 

언제나 푸근하게 감싸주는 팔공산아 오늘도 너는 나를 부르는구나... 이렇게 와서 너를 본다. 그리고 좋은 모습들을 갖이고 간다.

 

우리가 휘젖고 다니는 이곳은, 대구 올레 팔공산 7코스 [폭포골 가는 길]이 선정 되어있다. 정말 아름다운 길이다.

 

팔공산 케불카 종점 만댕이에서 바라다 본  [비로봉] / [동봉] 정상.  잘 다듬어진 이정표가 깨끗하고 아름답다.

 

 

                                                                                   팔 공 산  

                                                                                                         ㅡ박정곤 ㅡ

 

                                                  바람 부는 언덕에서

                                                  너를 바라본다.                                   하루 사이

                                                                                                         젖은 몸으로 코스모스 속에

                                                  엊저녁 뿌옇게 얼굴 가리고                   숨어 흔들리는 것은

                                                  신천에 내려와                                    몸살기만은 아닐 터

                                                  질펀하게 놀아날 때

                                                  나는 알았다                                       그저깨

                                                  코스모스가 피리라는 것을                    횡단도로 오르며

 

                                                  동봉 소나무에 앉아                             차오르는 기침을 한 점

                                                  바람 부는 뜨락쯤                                한 점 떨군

                                                  즐기지 않았느냐                                 네 핏덩이

                                                  염불암 落木쯤                                    허약한 부그러움 지우려다

                                                  가벼이 보지 않았느냐                          필시

                                                                                                         그걸 보고 말았음이라

 

                                                                                                         1953년 한밤 마실 사람 

                                                                                                         이념의 덫에 걸린 

                                                                                                         吳씨 그 사람. 

 

                                                                                                                                             2011.9.6. heot  ttokg.  하기  옮겨씀 

                                               

 

  

시간에 쫓겨다니는 보니 동봉을 오늘 오리지는 못했다. 아주 가까이 두고 못 오르는 오늘이다. 어쩌다 그 게으름이 내 발목을 잡고 말았다.

 

언제나 이곳에 서면 답답했던 마음이 확 풀린다. 그래도 안 풀리면 아주 크게 심호흡하면 정말 가슴이 확 풀린다. 거짖말이 절대 아니다.

 

 

                                                                                        바 위

                                                                                                      ㅡ 심후섭ㅡ

                                                     

                                                      바위

                                                      그 말없는 바위도                                   바위

                                                      산에 있으면 들을 줄 안다                        그 억센 바위도

                                                                                                                산에 있으면 아기가 된다

                                                      나무들이 부름켜를 늘려가는 소리

                                                      계곡물이 세월을 돌아나오는 소리              언제나 포근한 품속

                                                                                                                 깊은 잠에 빠지며

                                                       다 들을 줄 안다                                     더욱 순한 가슴 가꾸는

 

                                                                                                                  아기가 된다.

 

 

일가족 三代가 팔공산 케불카 종점 중간 만댕이에서 카메라 앞에 포즈를 취한다. 카메라를 소녀에게 맡기며 부탁을 하더니 이렇게 저렇게 찍어

달라고 부탁을한 큰아들로 보이는 이도 눈을 크게뜨고는 멋있는 표정을 한껏 부린다. 저런 표정을 내 카메라에 슬쩍 담았다.행복한 모습들이다.

 

한참을 후닥 거리며 하산을 하다 멈춰섰다. 주변이 조용하다.푸르름을 한껏 뽐내는 갈참나무 숲길. 쎌프로 카메라 썃더를 누르고 두팔을 허리에 대곤 너를 보았지...

 

참나무 구별법을 알아야 한다.이 山  저 山을 넘나드는 山을 정말 좋아하는 우리는....

 

팔공산 케불카 종점  야외 라운지. 나이드신 어른도 케불카타고 이곳  팔공산 중간 만댕이에 올라 가을을 노래하며 돌아 온 시간을 그리워한다.

 

시원하게 펼쳐진 저 아래 팔공 CC 클럽이 한 눈에 들어온다.

 

케불카 종점 [마운틴 블루] 휴게실 전망대.내가 서 있는 곳 보다 5m가 높다. 동서남북 조망이 일품이라고 했다.  

 

지금은 오후 한 시. 팔공산 구경도 식후경이다...등산객들이 펼쳐 논 점심식사 모습이 그렇게 좋아 보일 수 없다.    

 

당신이 카메라 앵글로 영상을 포착하는 모습이 참 진지하기에  나는 오늘 당신을 포착했지요. 모든게 아름답네요. 

 

 

                                                                               숲 길

                                                                                                ㅡ 노원호 ㅡ

                                    산허리 돌아돌아 이어진 숲길

                                    산새들 숨가쁘게 찾아서 온다.               나무를 서로서로 마주 본 숲길

                                    골짝마다 숨어살던 산의 얘기가             돌아서면 언제나 산새가 된다.

                                    숲길 따라 찬찬히 걸어 나온다,              골짝마다 숨어 살던 산의 얘기를

                                                                                           한 아름씩물어다 어깨에 건다.

 

  먼저들 다  함께 갔던 길을....할것 하고 들릴곳 들리고 파리빠켙트 빵4개 사들고 허기 채우곤 지하철타고 급행1버스 환승하고는

       부랴부랴 혼자 팔공산 중간 만댕이 올라 숲길을 거닐며 카메라 셀프타임에 맞추고 멋대로 폼잡고 땀흘렸지...씨익 웃음치던 오늘...  

 

깔딱 고개 만댕이....그렇게 숨이 깔딱 거리다가도 이곳을 넘으면 그렇게 시원할 수가 없다. 물 한모금 마시면 그렇게 더 좋을 수가 없다.

 

그래....맞다 !   ㅡ [민정]이[유정]이, 말이 맞소! ㅡ

 

 

  산등성이                                 

                                        고영민 (1968 ~  )

 

순의 부모님이 또 부부싸움을  한다. 발단이 어찌됐던 한밤중,

아버지는  장롱에서 가끔 大小事가 있을 때 차려입던 양복을 꺼

내 입는다. 내 저 답답한  할망구랑 단 하루도 살 수 없다. 죄 없

는  방문만 걷어차고 나간다. 나는 아버지께 매달려 나가시더라

도 날이 밝은 내일 아침에 나가시라 달랜다.대문을 밀치고 걸어

나가는 칠흑의 어둠 속, 버스가 이미 끊긴 시골 마을의 한밤, 아

버지는 이참에 아예 단단히 갈라 서겠노라 큰소리다. 나는 싸늘

히 등 돌리고 앉아있는 늙은 어머니를 다독여 좀 잡으시라고 하

니, 그냥 둬라, 내가 열일곱에 시집와서 팔십 평생 네 아버지 집

나간다고 큰소리치고는 저기 저 등성이를 넘는 것을 못 봤다.어

둠 속 한참을 쫓아  내달린다. 저만치 보이는 구부정한 아버지의

뒷모습,  잰걸음을 따라 나도 가만히 걷는다. 기세가 천 리를 갈

듯 하다.  드디어 산등성,  고요하게  잠든 숲의 정적과 뒤척이는

새들의 혼곤한 잠 속,  순간 아버지가 걷던  걸음을 멈추더니  집

쪽을 향해 소리를 치신다.  에이, 이 못된 할망구야, 서방이 나간

다면 잡는 시늉이라도 해야지, 이 못된 할망구야, 평생을 뜯어먹

어도 시원찮을 이 할망구, 뒤돌아 식식거리며 아버지 집으로 천

 릿길을 내닫는다. 지그시 웃음을 물고 나는 아버지를 몰고 온다.

어머니가 켜놓은 대문  앞  전등불이 환하다. 아버지는 왜, 팔십

평생 저 낮은 산등성이 하나를 채 넘지 못할까.                       

 ....................................................................................

 

아들이 묻는다. 아버지는 왜 저 산등성이 하나 못 넘느냐고. 아버

지가 답한다.  가장이 산등성이를 넘어가면 안 되는 거라고. 딸이

묻는다.  왜 엄마는 대문 앞까지 전등불을  켜놓느냐고. 어머니가

답한다. 남정네가 대문을나가면 그 순간부터 기다려야 하는 거라

고, 아들 딸이 묻는다. 그럴 걸 왜 싸우냐고. 부모가 답한다. 물을

걸 물어보라고 .  - - - -                   ㅡ [임순만 수석논설위원]

 

                                                         2011.10.4. 국민일보  게재 된 아침의 詩 [ 산등성이 ] 全文 

 

뒷 모습이 얼마나 아름답습니까? 얼마나 소박하고 거짖없는 발걸음입니까? 우리 모두는 저래야 합니다. 좋은 모델이 되여준 분들께 고마움 전합니다.

 

다소 곳이 모여 앉아 얘기꽃 피우는 나들이 나온  모습이 눈에 들어 왔습니다. 여자 세명인데 남자는 한명이었습니다.그 남자는 참 씩씩해 보였습니다.

 

보무도 당당한 [푸른꿈]고문님! 당신이 있기에 늘 빈 자리를 꽈악 채울 수 있어 엄청 참 좋습니다.

 

공[자부친]고문님!  껍질 펴고있던 그 사탕 정말 고마웠습니다. 정말로 맨날 오늘 같으면 참 좋겠습니다.

 

 같은 해(年)에 두달 간격으로 세상에 나온 [약천산][곰씨][하기]

 

                                       서늘한 가을 바람.  선득한 산 만댕이 공기. 문득 생각나는 것도,그리워 지는 것도 많은 계절.

                                      

                                       늦고 헐한 저녁이 옵니다

                                       낯선 바람이 부는 거리는 미끄럽습니다

                                       사랑하는 사람이여,

                                       당신이 맞은편 골목에서

                                       문득 나를 알아볼때까지

                                       나는 정처 없습니다.

                                       

                                         ( 이성복 詩人의  "그대 문득 나를 알아볼 때까지" )  늦고 헐한 바람이 부는 거리. 정처없는 가을.ㅡ

 

                                                                                                                          동아일보  오늘의 날씨  박선희 기자

 

 회장[허비]님의 건배 제의 !  자~~ 우리 모두를 위하여 건배를 듭시다. 술잔을 채우세요.그리고 건강합시다.우리 모두를 위하여 ~

ㅡ 우리는 같은 길을 걸으며 좀 거창하게 얘기하면 나라를 위해 같은 일을했기에 모두가 세상 물정에 좀 어루숙하고... 욕심없이

             좋으면 그저 좋다고, 따라가는 모습이 있는데, 우리도 이제는 야무져야 한다는 일침을 주었던 토의시간.오늘 좋았습니다 [허비]曰ㅡ

 

[장닭]님에 한마디. 맨날 요기 조기서 모일께 아니라 우리도 묻지마 버스 타고 돈도 좀 풀어 놀러가지고 강력하게 주장하는 바입니다. 

 

오늘은 함께 [ㅋ]을 토닥거리며 열공했던 [ 광 8 ]님들도 넷이나 참석했네요.자리가 훤했습니다. 매달 이랬슴 참 좋겠습니다.

 

밝음 보다는 때로는 이리 깜감해도 보기가 참 좋습니다.맞지지요?. 눈을 크게 뜨면 훤히 잘 보일 겁니다.

 

시월엔,  열세명 + 아홉명.  참석했습니다.

 

언제나 수고 하는 총무[파더 심]님을 위해 오늘은 [약천산]님을 대신해서 [하기]님이 뫃았습니다. ㅡ거금 전달식ㅡ

 

아픈 어금니 뽑아 제치고 인플랜트 시술하고 퉁퉁 부었던 볼태기가 쬐금은 가라 앉았는데...

 오늘은 정말 못 올건데... 늦게 도착하고 혼자 휙 돌았지요. 케서 동동주 한모금 좋았답니다. 

 

동동주 한모금에 후들 거렸던 아랫도리는 기운을 찾았습니다.  한 시간 삼십여분만에 케블카 만댕이에 올라서는 혼자서

  벌건 대낮에 사진만들고 할 것 다 하고 휙돌아 다시 성공식당앞에 오니 십사시 삼십분이었습니다.참 숨찬 하루였지요ㅎ  

 

언제나 건강한 모습들.땀 흘리고 山타고 내려 온 우리들...동동주 한 사발에 지난 얘기를 나눌 수 있는 우리들...

아름답고 행복합니다. 그리고 이제 더 환해 지고있습니다. 건강하십시요.모두에게 고마움 전합니다.2011.10.05.

 

                                                                                                                                               heot  ttokg   하기

 

 

'국내 여행 > 오른 山 & 들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해 하례식  (0) 2012.01.08
임진년 새해 첫 산행   (0) 2012.01.05
9월 첫 산행  (0) 2011.09.12
내모습  (0) 2011.06.13
팔공산 동봉을 오르다  (0) 2011.06.1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