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좋은글 · 詩 들

나도 고향에 가고 싶다

by 하기* 2012. 1. 25.

 

 

[정진홍의 소프트파워] 나도 고향에 가고 싶다

[중앙일보] 입력 2012.01.21 00:00 / 수정 2012.01.21 00:00

  # 정상명 전 검찰총장은 퇴임 후 서울서 고향인 경북 의성 다인까지 240㎞, 600여 리를 7박8일에 걸쳐 걸어갔었다

  “언젠가 영구차 타고 갈 곳, 두 다리 멀쩡할 때 걸어서 가보겠다”던 생각을 실행에 옮긴 것이다.얼마 전 그가 고향

 까지 걸어갔던 길을 오늘(07:05)과 내일(00:25) 방영될 JTBC ‘정진홍의 휴먼파워’에서 재현하려고 동행했다.  오전

 8시에  정 전 총장이 사는 한남동 집을 출발해 자정이 다 돼 다다른 그의 고향집에 들어섰을 때 반겨준 것은 은근한

 달빛뿐이었다. 그 달빛 아래 그가 한 말이 긴 여운으로 남았다.  “항상 고향집에 올 때는 어두운 밤이었죠.  한 번도

  낮에 오질 못했어요. 바쁘다는 이유로….”                                                                                                   

 # 그렇다. 언제부턴가 고향은 늦은 밤 도둑처럼 들었다가 해 밝기 무섭게 등지는 그런 곳이 돼 버렸다. 하지만 그

 렇게라도 다녀올 고향이 있는 사람은 행복한 거다. 아예 가고 싶어도 갈 수 없는 이들도 적잖기 때문이다.  정 전 총

장이 내게 물었다. 고향이 어디냐고. 물론 나는 서울서 태어나 자랐다. 하지만 내 고향은 서울이 아니다.  ‘평안남도

강서’다. 내 아버지의 고향이고 내 마음의 고향이다.  몇 해 전 평양에 갔을 때 차창 밖으로 스치는 바람 속에서조차

느낄 수 있었다. 아버지의 혼이 나와 동행하며 하염없이 울고 있다는 것을.어린 시절 설이 되면 우리 집은 즐겁기는

커녕 우울했다. 아버지가 늘 우셨기 때문이다.   남자가 운다는 것이 어떤 것인지를 난 그때 알았다.  상을 차려놓고

 하염없이 우는 아버지를 보면서 내게 고향은 ‘눈물’이었다.                                                                            

 # 오래전 아버지가 돌아가신 후 우연히 헌책방에서 『강서군지』를 봤다. 어린 시절 아버지 손을 잡고 ‘강서군민

회’에 갔던 기억이 나 곰팡이 핀 군지(郡誌)를 사서 들고 왔다. 곰팡이를 털고 눅눅하게 빛바랜 책을 그늘에서 말려

거풍(擧風)’한 후에 조심스레 첫 장을 열었다.누렇게 뜬 초지 뒤로 흐릿하나마 강서군 전경을 담은 사진 한 장이 눈

에 들어왔다. 하지만 그것을 바라보는 시선은 하나가 아니라 둘이었다. 나의 시선과 아버지의 시선이 거기 함께 꽂

 혀 있었다.    그 사진엔 옥수수밭이 지천이었다. 어릴 때 아버지는 우리 집 마당에 옥수수와 피마자를 잔뜩 심었다.

정원에 옥수수와 피마자를 심다니….  하지만 그것이 아버지에겐 마음의 고향밭이었고 그렇게 해서라도 실향의 아

픔을 달래고 싶었던 것임을 철들며 알았다.그만큼 아버지의 고향은 서울서 나고 자란 나에게조차 골수에 파고드는

그 무엇이었다.                                                                                                                                    

 # 설이다. 이번 설 연휴엔 해외로 여행 가는 인파가 27만2800여 명으로 사상 최대가 될 전망이다.  그러나 여전히

그 백 배가 훨씬 넘는 3154만여 명이 고향을 찾아 가히 ‘민족대이동’을 한다. 하지만 “밤에 들렀다 동트기 무섭게 돌

아 나온다”는 말처럼 만 24시간 이상 고향에 머무는 경우가 드문 게 요즘 세태다. 신(新)모계사회의 도래라고 할 만

큼 며느리와 외가의 입김이 세진 탓에 주로 시댁인 고향에 그다지 오래 머물지 않으려는 이유도 있을 것이다. 또 서

로 떨어져 있다가 오래간만에 만난 탓에 명절엔 “마주치면 싸우니 얼른 헤어지자”는 것이 지혜로운 공식처럼 돼 버

 린 요즘이다. 게다가 도시의 아파트 생활에 익숙해진 아이들이 좁고 불편한 시골집을 기피하는 현상도 이에 한몫하

    지 않나 싶다. 그래서인지 이번에도 귀성길은 설 전날, 귀경길은 설 당일이 가장 붐빌 전망이라고 한다.                   

 
  # 휴전선이 가로막혀 갈 수 없는 실향(失鄕)의 아픔과는 달리 고향이 있지만 점점 더 멀어지는 격향(隔鄕)의 시대

  가 그리 오래지 않아 올 것만 같다.  결국 이러다 고향에 사시는 부모님 돌아가시면 그나마 한나절이라도 고향 가는 

 일마저 사라지지 않을까 걱정이다.   하지만 명절 때면 고향 생각에 우시던 아버지의 모습이 이제는 나의 모습이 돼

    버린 실향민의 아들에겐 이런 걱정마저 사치스럽다. 정말이지 나도 고향에 가고 싶다.                                          

 

 

     정진홍논설위원

 

 

 

 

 

 

 

 

 

 

 

 

 

 

 

 

                                                                                                [지난달에는 무슨 걱정을 했지?] 

 

                                                                                                지난달에는 무슨 걱정을했지?

                                                                                                지난 해에는?

 

                                                                                                그것 봐라

                                                                                                기억조차 못하잖니?

 

                                                                                                그러니까 오늘 네가

                                                                                                걱정하고 있는 것은

                                                                                                별로 걱정할 일이 아닐거야

 

                                                                                                잊어버려라!

                                                                                                내일을 향해 사는 거야!

 

                                                                                                                                 ㅡ 리 아이아 코카 ㅡ

 


 Thank you

 

 

                                                                                     2012.1.27.   하기

 

'좋은글 · 詩 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가 있는 아침] 늙은 꽃  (0) 2012.02.29
  (0) 2012.02.26
고스톱에서 인생을 배우다  (0) 2012.01.24
[스크랩] 2012 신춘문예 당선작 詩  (0) 2012.01.17
꽃에 대하여  (0) 2012.01.1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