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좋은글 · 詩 들

애틋한 것을

by 하기* 2010. 2. 17.

 

 

                                        
 
 
                                            [애틋한 것을]

                                                                   
                                                                                     ㅡ이정환ㅡ
                                          애틋한 것을 일러  

                                          그렇게 부르는 걸까                              

                                          뒷모습 아침 이슬

                                          저 하늘의 무지개

 
                                          시방도 애틋한 정분(情分)

                                          꽃망울로

                                          맺히는 것을
 
                                          만나고 싶다고
                                          감히 전하지 못함이
                                          세상에서 제일로
                                          뼈에 저린 일이어라
 
                                          어쩌면 그래서일까
                                          늘 스치는
                                          저  바람은.
 

시와 함께

사라지는 것은 우리를 애틋하게 한다.'뒷모습 아침이슬' 혹은 '저 하늘의 무지개처럼'

그렇게 순간적으로 사라지는 것들이 애틋함을 남긴다.그러나 진정으로 애틋하게 하

는 것은 사라져 깨끗하게 지워지지 않는다.오히려'꽃망울로 맺혀'가슴 속에 정분(情

分)'처럼 맺혀 오랫동안 남는 것이다.그렇다면"마나고 싶다고/감히 전하지 못"한 채

      떠나보낸 바람 같은 인연이야말로 참으로"애틋한 것"이 아니겠는가." 세상서 제일
      로 뼈에 저린 일"이다.따지면 그 인연이 어느 특정인에게만 한 하겠는가.살면서 맺은
      인연이 '스치는 저 바람'같을진대 모든 인연이 다 애틋하지 않은가. 구석본 (시인)

 

      2010.2.17. 하기 편집
 
 
 
 

'좋은글 · 詩 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나 간다  (0) 2010.02.21
[스크랩] [시가있는 아침] 무생물도 봄을 기다린다  (0) 2010.02.20
겨울 들판을 걸으며  (0) 2010.02.15
지나 간다  (0) 2010.02.15
겨울 사랑  (0) 2010.02.1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