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좋은글 · 詩 들

어머니와 설날

by 하기* 2013. 2. 9.

 


‘ 어머니와 설날 ’
                                  김종해(1941∼)

우리의 설날은 어머니가 빚어주셨다
밤새도록 자지 않고
눈 오는 소리를 흰 떡으로 빚으시는

어머니 곁에서
나는 애기까치가 되어 날아올랐다
빨간 화롯불 가에서
내 꿈은 달아오르고
밖에는 그 해의 가장 아름다운 눈이 내렸다

매화꽃이 눈 속에서 날리는
어머니의 나라
어머니가 이고 오신 하늘 한 자락에
누이는 동백꽃 수를 놓았다

섣달 그믐날 어머니의 도마 위에
산은 내려와서 산나물로 엎드리고
바다는 올라와서 비늘을 털었다

어머니가 밤새 빚어놓은
새해 아침 하늘 위에
내가 날린 방패연이 날아오르고
어머니는 햇살로
내 연실을 끌어올려 주셨다.



 

                     " 김준석의 "설날 널뛰기 "

 

문열면 큰일 날 것처럼 난리치다 어느 날 개방한 조선에서 외국인들이 수집한 품목 중 하나가 풍속화였다. 부산에 이어 1880년 개항한 함경도 원산에는 갑자기 밀려드는 주문에 눈코 뜰 새 없이 바쁜 화가가 있었다. ‘수출 풍속화’ 분야에서 독보적 기량을 떨치게 된 기산 김준근이었다. 이름 없는 어촌이 외세에 의해 마지못해 국제항으로 변신하고, 양반네는 거들떠도 안 보던 환쟁이의 저잣거리 그림을 이방인들이 소중히 거두기 시작했다. 화원도 아닌 평민 출신 화가의 작품은 알려진 것만 1570점이 넘는다. 다작 덕분에 그는 해외 박물관에서 가장 많은 작품을 소장한 조선의 풍속화가로 손꼽힌다. 요즘 갤러리현대에서 열리는 ‘옛 사람의 삶과 풍류’전에 등장한 ‘설날 널뛰기’도 그의 솜씨다. 치맛자락 휘날리며 공중으로 힘차게 뛰어오른 젊은 여인의 모습에서 한 해를 시작하는 생기와 활력이 느껴진다.

기산이 붓으로 한 세기 전 정초 풍경을 그려냈다면 김종해 시인은 글로 유년의 설날을 핍진하게 되살린다. 육신은 궁핍했으나 영혼은 덜 궁핍했을 시절에 어머니가 빚어주신 설날의 추억이다. 이젠 보기 힘들게 된 정경이라 생각하면 향수마저 느껴질 정도로 빠른 속도의 세월이다. 잃어버린 것은 설날의 추억만이 아니라 내 마음속 자연의 풍경이기도 하다. 화롯불이 어째서 어린 꿈으로 피어오르는지, 산과 바다는 어떻게 조그만 밥상에 내려앉는지, 그리하여 설날 아침 문 열고 나가 본 하늘이 온통 나의 것이며 그 조물주가 어머니였는지를.

짧은 설 연휴의 시작이다. 새해의 각오가 요란했던 만큼 또 시들해지기 시작한 2월에 맞는 명절은 다시 출발의 기회를 선물 받는 시간이라 애써 다짐해 본다. 나로호의 추진단장은 삼세번 도전 끝에 성공하고서 말했다. 성실한 실패를 용인해줘야 우주기술이 발전한다고. 우주개발도 그럴진대 개인의 삶은 오죽할까. ‘성실한 실패’를 감수하는 자세야말로 인간의 깊이를 갖는 길이 아닐까도 싶다. 그래서 이번 설엔 지키지 못한 신년 결심을 반복하기보다 스스로를 편하고 자유롭게 놓아주는 리셋 전략을 선택해 볼까 궁리 중이다. 남들보다 더 잘하려고 고민하지 마라. 지금의 나보다 더 잘하려고 애쓰는 게 중요하다. 윌리엄 포는 그렇게 말했다.

고미석 논설위원 mskoh119@donga.com

                                               2013.2.9. 토요일 동아일보 22면 오피니언[고미석의 詩로 여는 주말]

 

..........................................

 

[윤영세의 따뜻한 동행]

 

좋은 나이

 

묵은해를 무사히 보내고 한 살 더 먹었으면 참 장한 일인데,  주위를 둘러보면 대체로 그런 반응이 아니다. 하긴 ‘동안(童顔)’ 외모가 큰 자랑거리인 세상이다. 50대 여인이 30대로 보여서 아들하고 외출하면 연인인 줄 착각하고,심지어 아들의 여자친구로부터 오해를 받은 적도 있다는 이야기가 부러움의 대상이 된다. 곳곳에서는 젊음을 유지하기 위해 총력전을 펼치라는 구호가 난무한다.

그런데 나이에 주눅 드는 건 중장년층만이 아니다. 새파랗게 어린 20대도, 젊고 매력 있는 30대도 무조건 자신보다 어린 나이를 부러워한다.   예전에 어른들이 “참 좋은 나이다”라고 말씀하실 때는 연로하시니까

팔팔한 젊음이 좋아 보이시는 게 자연스럽다고 여겼다. 그런데 요즘에는 충분히 아름다운 젊은 사람들이 몇 살 더 어려 보이겠다고 팔을 걷어붙이고 나서는 걸 보면 ‘이건 병’이라는 생각이 든다.

오죽하면 한 사진가가 “여자 사진 잘 찍는 법 가르쳐줄까요? 사진 찍고 나서 3년 후에 주면 돼요”라는 농담을 할까. 사진을 금방 건네주면 나이 들어 보인다는 둥 불평이 많지만 3년 후에 주면 “예쁘게 나왔다”며 좋아한다는 것이다.

젊음은 아름답다. 그리고 공평하다.  누구든 젊은 시절을 거치지 않고 어른이 된 사람은 한 명도 없다.  안타깝게도 그 시절에는 젊음이 좋은 줄 실감하지 못하고 엄벙덤벙 보낸 것뿐이다. ‘지금 알고 있는 것을 그때도 알았더라면’이란 시에서 시인은 지금 알고 있는 것을 그때도 알았더라면 내 가슴이 말하는 것에 더 자주 귀를 기울이고, 분명코 더 감사하고, 더 많이 행복해했으리라고 노래한다. 또한 진정한 아름다움은 자신의 인생을 사랑하는 데 있음을 기억했으리라고 말한다.

나는 누군가에게 어떤 제의를 했을 때, “내가 지금 이 나이에 무슨…”이라고 말하는 사람을 경계한다. 필경 그 사람은 나이를 핑계 삼는 것이고, 아마 수년 후에는 “그때 시작할걸”이라고 후회할 것이다. 그런 사람은 자신의 가치를 미래에 두지 않고 과거에 두는 사람이다. 즉 자신의 현재를 사랑하지 않는 사람이다.

생각해 보면, 나이를 먹는 일이 억울한 게 아니라 그 순간순간에 좋은 줄 모르고 사는 것이 억울한 일이다. 내가 돌아가고 싶어 하는 그 나이가 있다면, 그때 그 나이여서 진정 행복했나를 곰곰이 생각해보자. 아마 좋은 줄도 몰랐을 것이다. 지금 그렇듯이.

사실, 지금 알고 있는 것을 그때에 어찌 알 수 있었겠는가. 그렇다고 해도, 너무 늦게 깨닫지 않았으면 좋겠다. 10년 전을 돌아보며 한탄하지 말고 10년 후를 미리 내다본다면 바로 지금, 각자 주눅 들어 하는 자신의 나이가 아직 참 좋은 나이임을 알 것이다. 왜냐하면 내게 남은 인생에서 지금이 가장 젊으니까 말이다.

윤세영 수필가

                    2013.2.14. 목요일 동아일보 A30 면 오피니언[윤세영의 따뜻한 동행]  좋은 나이

 

 

 

 

2013.1.25. 영대병원 901실 앞 로비에서 바라 본 [두류타워]

3일간(1.24~1.26) 입원하여 신체검사를 받던날 촬영    하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