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좋은글 · 詩 들

봄도 없이 3월

by 하기* 2025. 3. 27.

 

           봄도 없이 삼월

 

                                                                                 2025.03.23. 경부선 원동역 뒷山 에서

 

   [ 아침의 문장 ]    ㅡ 2025.3.25. 중안일보 오피니언 28면中

   내가 느끼는  " 좋은 사람 "은 사회적 지위나 재정적 상태와는 상관없이
   별로 튀지 않고, 마음이 넓고, 정답고, 남의 어려움을 잘 이해할 줄 아는
   사람이다.삶을 다하고 죽었을 때 신문에 기사가 나고 모든 사람이 단지
   하나의 뉴스로 알게 되는 " 유명한 "사람보다, 누군가 그가 없어짐을 슬
   퍼해 주는 "좋은" 사람이 된다면 지상에서의 삶이 헛되지 않을 것이다.

       ☎ 에세이스트 장영희(1952~2009) 전 서강대 교수의 산문에서 고른 

           문장들을 실은 [ 삶은 작은 것들로 ] 에서 옮겨 적었음.

 

                                                                                               photo by 건셀(산사랑)

 [봄도 없이 삼월]
                                 ㅡ 김병호 (1971 ~   )
 사람이 사는지
 미처 몰랐습니다                    
                                              봄도 없이 그 앞을 지니던
 무릎보다 낮은 반지하             수백의 연분홍 맨발들도
 쪽방에 핀, 손바닥만 한           한 번씩 발을 넣어보겠습니다

 보행기 신발과                    
 앞코 해진 운동화                    얼굴 없는 걸음들이 지나칠 때마다
                                              뽀드득뽀드득 햇살 미끄러지는
 봄빛을 모아 출렁이는             아이의 잠을 덮겠습니다
 두 켤레 꽃을 보고서야             
 알았습니다.                            봄이 혼자만 오지는 않는 것 같습니다
                                              햇살에 힘줄이 돋습니다.
                                                                               end.
                                                           ..................

    ☎  둘러보니 벌서 서울에도 매화꽃 만발했습니다만 가만 서서 

   웃으며 바라 볼 여유는 없습니다. 꽃 얘기, 봄소식 맘 놓고 나누
   지도 못하는 삼월입니다.
    "춘래불사춘(春來不似春)"을 올해 처럼 실감하기도 처음입니다.
     ㅡ <중략> ㅡ
   매해 봄이와도 봄을 실감하기 어려운, 어려운 삶의 그 골목 사람들. 
   그 "두 켤레꽃"을 발견하고는 "연분홍 맨발"의 마음이 되어 "꽃"에 
   "발을 넣어" 보고는 잊었던 미소를 띱니다. 가던 걸음도 조금 
   더뎌질 겁니다. 사뿐한 잠깐의 봄 신발입니다.
   꼭 오고야 말 봄의 징표이고 희망의 악보입니다. 그 창 아래에
   사람이 사는지 몰랐던 것 참으로 미안합니다!                               
                                                        ㅡ장석남 시인, 한양여대 교수


2020.3.23. 조선일보 게재 [장석남의 시로 가꾸는 정원] 중에서 

               * ☎ 춘래불사춘(春來不似春)  "봄이 왔어도 봄 같지 않다"

 

 

                                                                            2025.03.17. 포항 월포 닻전망대 에서  

 

       정 끝벌의 시 읽기一笑一老  


                   [나는 말을 잃어버렸다]


                       내 나이 일흔둘에 반은 빈집뿐인
                       산마을을 지날 때 늙은 중님, 하고 
                       부르는 소리에 걸음을 멈추었더니
                       예닐곱 아이가 감자 한 알 쥐여주고
                       꾸벅, 절을 하고 돌아갔다  
                       나는 할 말을 잃어버렸다

                       그 산마을을 벗어나서
                       내가 왜 이렇게 오래 사나 했더니 
                       그 아이에게 감자 한 알 받을 일이
                       남아서였다
                       오늘은 그 생각 속으로 무작정 걷고 있다.


                                  ㅡ조오현(1932~) [적멸을 위하여]  문학사상사, 2012)

                          ☎
                        왜 사느냐고 묻거든,  그냥 웃겠단다.  못다 한 사랑 때문에,  죽지 못해 아니 
                        살아 있으니 산다고도 한다. 시 속의 '늙은 중님'께서는 감자 한 알 받기 위해 
                        사신단다. 예닐곱 아이가 일흔둘의 '늙은 중님'을 불러 감자 한 알을 쥐여 주
                        고는 꾸벅 절한다. 제 먹을 거 움켜쥐기에 다급할 예닐곱 나이에, 빈집 태반인
                        산마을이니 제 먹을 것도 부족할 텐데 지나가는 탁발승에게 감자 한 알을 건
                        네는 아이. 그 예닐곱 아이가 보시와 공덕을, 자비와 측은지심을, 인연과 업을
                        알았을 것인가. 아이는 그 자체로 보살이고 부처다.

                         그러니 '늙은 중님' 에게는 감자 한 알의 '한 소식'이었을 것이다.
                         불립문자(不立文字)랬거니, 그런 '한 소식' 앞에서 무슨 말을 앞세울 것인가,
                         잃을 수밖에. 감자 한 알의'한 소식'을 한 번 더 받기 위해 일흔둘을 넘기고도 
                         오늘도 무작정 걸음이란다?
                                                                                                      -정끝별시인. 이화여대 교수


 

    2025.03.23.통도사 홍매 를 담다.

2025. 03.27. 편집

 

 

 

 

 



'좋은글 · 詩 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3월의 좋은 글 & 시  (18) 2025.03.19
좋은 시 & 글  (8) 2025.02.27
좋은 詩 & 글  (15) 2025.02.12
좋은 글 & 시  (12) 2024.12.15
우리 인생도 - - -  (13) 2024.11.2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