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좋은글 · 詩 들

엄원태 의 [시와 함께] ㅡ 제삿날 ㅡ

by 하기* 2010. 10. 18.

 

 

제삿날

                                                                                                                ㅡ이중기ㅡ

 

 

                                                                 꿈에 한번 다녀가라고 통기하듯 쓰고 싶었다

 

 

                                                                 열두 살 아들내미 지켜보는 자리에서

                                                                 문 바르고 남은 한지에다 간곡하게 적고 싶었다

                                                                 일곱 번을 썼다가 구겨버리고 해질 무렵에

                                                                 옆집 가서 노인에게 부탁해서 한 장 써 왔다

                                                                 첨잔이 무엇이고 축문을 어찌 알았으랴

                                                                 조율시이 홍동백서 들은 적 있어도 아예 몰랐다

                                                                 첫제사 때 봤던 기억 없고 모조리 초면 같다

                                                                 순서는 몰랐어도 정성껏 지지고 구워 한 상 올렸다

                                                                 무엇보다 바나나가 풍성해서 보기 좋았다

                                                                 낮에 따서 올린 복숭아 몇 개도 왠지 낯설지 않았다

                                                                 아들내미 까무룩 조는 아홉 시 쯤 향 피웠다

                                                                 대충 몇 번 절하고 술잔 물려 음복을 했다

                                                                 지방은 타서 흩어지고 베트남 아낙 울지 않았다

                                                                 들은 귀는 있었는지 열어둔 방문으로 달빛이 쏟아졌다

                                                                 초저녁이라 남편 제사 하루 당겨 지낸 꼴이 되었다.

 

                                                                                              2010.10.18. 매일신문  [엄원태의 시와함께]

 

 

보아하니 한국으로 팔려오듯 시집온 ‘베트남 아낙’의 남편 기제사 얘기이군요. 지방(紙榜)을 쓰는 그 심정이

“꿈에 한번 다녀가라고 통기하듯 쓰고 싶었다” 하니, 참 애절하고 간곡하기 그지없는 사부곡(思夫曲)입니다.

“일곱 번을 썼다가 구겨버리고 해질 무렵에/ 옆집 가서 노인에게 부탁해서 한 장 써 왔다” 하니,그거 하나면

되었습니다.지방을 반듯하게 준비한 그 정성에다, “순서는 몰랐어도 정성껏 지지고 구워 한 상 올렸다” 하니,

그까짓  조율시이니  홍동백서니 하는 법도가 무에 그리 중요하겠습니까.    바나나가 풍성해서 보기 좋았고,

제사엔 쓰지 않는다는 복숭아도 낮에 직접 따서 올린 것이니,아낙의 눈에 낯설지 않으면 된 거 아니겠습니까.

게다가  “까무룩”  졸기는 해도  열두 살이나 먹은 아들내미가 있어, 우리의  베트남댁 과부는 울지 않았다지

않습니까.초저녁이라 남편 제사 하루 당겨 지낸 꼴이 된들 어쩌겠습니까.제사란 것도 어쩌면 결국은 산 사람

들의 몫일 테니까요.                                                                                                     엄원태 시인

 

 

 

 

 

                                                                      팔공산 케이블카 정상 만댕에서 바라 본 낙타봉 - 동봉 & 비로봉

 

 

             

 

 

'좋은글 · 詩 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을 이야기  (0) 2010.11.02
가을  (0) 2010.10.21
내가 원하는 것은  (0) 2010.09.23
지금 곧 해야할 일  (0) 2010.09.05
엄원태의 [시와 함께] ㅡ 山蔘 ㅡ  (0) 2010.08.18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