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 여행/우리나라

바람의 언덕

by 하기* 2011. 7. 10.

 

 

 

 

 

 

 

 

 바람의 언덕

 

 

 

 

 

소매물도로 섬여행을 떠난 오늘, 섬으로 가려면 꼭 거쳐가야  하는  경상남도 거제시(거제도) 남부면

갈곶리에  위치한  거제도 8경중의 한 곳인 도창포[바람에 언덕]. 우리나라 경남 지역에서 제일 남쪽

끝에 위치한 낭만의 해안마을 거제시 남부면 갈곶리 도창포[바람의언덕]아름답게 잘 다듬어져 있었

다. 작은 山 정상 만댕이에 올라 크게 심호흡한후 [바람의언덕]으로 내려오니 시원한 바닷바람이 우

 리를 반갑게 반겨 주었다. 그제서야 알게된 배고픔.새벽에 정성드레 직접만들어 보내준 넉넉한 김밥 

        도시락.고마웠다.해서 건강하게 여행길에 힘낼 수 있었다. 楠 쌤 사모님께 이제야  큰 감사함 전한다        

   

 

 

85

 

 

 

 

 

[거제시] 거제시(巨濟市]는  경남의 남해안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 두번째로 큰 섬으로서

동쪽으로는 부산 가덕도와 직선거리9km에 위치하고서쪽으로는 통영시와 신거제대교를 사이에 두고 있으며

 북 서쪽 해안은 진해만을 끼고 진해 마산 고성과 마주하고 있다.                                                           

 

거제도(거제시) 안내 지도

 

만약 오늘 당신이 걷지 않는다면 내일은 뛰어야만 할 것이다.

 

아름다운 도창포 포구

 

 

                                                           언덕

                                                                                             ㅡ오영민 ㅡ

                                      

                                         (1)  가만히 불러보면 일어나서 올 것 같은                (2) 얇아진 구두 뒷 굽이

                                               용강리 64번지 언덕배기 섬 돌에는                         언덕을 또 낳는다

 

                                               어머니 구부정해진                                              내 미처 그때는 뜨거운 줄 몰랐지만

                                               닮은 구두 놓여 있다                                            뙤약볕에 나앉은 아이 등을 볼 적마다

 

                                               빳빳하던 신발 바닥 깍아 먹은 모진 길                    저 등이 내가 넘어야 할

                                               그 시간 못이 되어 생채기에 박혔는데                     언덕임을 생각한다.

 

                                                                                                         ㅡ중앙일보 시조 백일장 3월 [장원]작 ㅡ

 

도창포 포구로 들어오는 저 배의 힘찬 움직임을 닮아야 한다.우리는....

 

 

                         [그대의 바람]

                         우리 삶이 바람과도 같은 것이라면 봄바람 새차게 불던 봄날에 외롭고 가난하고 쓸슬한 이들에게 부는 바람이되 말자.

                         우리 삶이 바람과도 같은 것이라면 힘겹게 봄 지나 그대 잔득 굳어 있는 얼굴 따듯하게 쓰다듬는 초여름 바람으로 불자.

                         햇빛 내리쬐는 여름날, 모두의 눈망울에 초록 순 더 푸르게 돋아나게 하는 그런 바람. ㅡ동아일보 게재 (삼팔육c)황중환ㅡ

 

얼마나 소중하고 얼마나 아름다운 순간인가? 

 

 

함께 가야 멀리 간다.

 

 

" 바람의 언덕에서 찾아 낸  꿀 처럼 달콤하고 풍요로운 순간 "  ( 1 )

 

 

                                                                   [ 신 발 ] 

                                                                                                         ㅡ시인 최두석 ㅡ

 

                                                              이미 걸어 온 길 때문에 계속 걸어 온 길을 되새긴다

                                                              또한 어떻게 신발끈을 조이고

                                                              부그럽지 않게 앞 길을 가나 생각한다

                                                              이순을 막 넘어 선 완숙한 나이에

                                                              어이 없이 신을 잃고 헤메다가

                                                              어디서 남녀로 짝짝인 흰고무신 얻어신고

                                                              어기적 거리다가 꿈을 깬날 아침에. 

  

오늘 걷는 내 발자국은  뒷 사람의 길이 됩니다.

 

도창포 포구

 

 

[바람의 언덕] 중간 지점 부분에서 정상으로 오르는 계단 길

 

[엉겅퀴]를 만났다.그러면서 혼자 중얼 거렸다...[엉겅퀴]는 스콧들랜드에 바이킹족이 쳐들어 왔을때...하며 ㅎㅎ

 

                             

                                                [엉겅퀴]

                                                                   ㅡ시인 고정국 ㅡ

                                              쉽사리 야생의 꽃은                     [박기섭의 시조 시평]

                                              무릎을 끓지 않는다.                        까마른  뼈와  죽창이  엉겅퀴의 심장과 겹칩니다. 엉

                                                                                              겅퀴는  가시나물이라는 별칭이 있을 정도로 몸 전체에

                                              빗물만 마시며 키운                      털이 나 있지요.  억센 톱니가 달린 잎들이 쉽사리 무릎

                                              그대 깡마른                                끓지 않는 반골의 야성을 대변합니다.

                                              反骨(반골)의                                  식민의  땅에서 빗물만 마시고, 혼자 죽창을 깎는 모

                                              뼈                                             습은  아무래도  지사의 풍모에 가깝습니다.  요체는 정

                                                                                              신이요,  그 정신의 내밀한 풍경일 테지요. 상하지 않고 

                                              식민지 풀 죽은 토양에                  온전한  야생만이  상하지 않고  온전한  정신의 풍경을

                                              혼자 죽창을                                품을 수 있습니다.                              

                                              깍고                                             행간을  따라가노라니 압제와 핍박의 지난 세월이 퍼

                                              있다.                                         뜩  스쳐갑니다.  굴종을  강요하는 시대일수록  야생의 

                                                                                              엉겅퀴는  희귀식물이 되기  십상인  것. 헛말만이 무성

                                                                                              한 시방 세상 어디에서 깡마른  반골의 뼈를 찾을 수 있  

                                                                                              을는지요.                                   [박기섭  시조시인] 

                                

" 바람의 언덕에서 찾아 낸  꿀 처럼 더 달콤하고 풍요로운 아름다운 모습 "   ( 2 )

 

사랑 참 어렵다 ! . 혼자라고 생각하지 마십시요.

 

[갓바위]  와 [헛똑이] 는  솔직하다.  좋고 싫음이 분명하다.

자신이 하고싶은 일은 꼭 이루려는 성격이 서로 닮은 것이다.

 

 

                                                                        들꽃 언덕에서 알았다

                                                                        값비산 화초는 사람이 키우고

                                                                        값없는 들꽃은 하느님이 키우시는

                                                                     것을

 

                                                                        그래서 들꽃 향기는 하늘의 향기인

                                                                     것을

 

                                                                        그래서 하늘의 눈금과 땅의 눈금은

                                                                        언제나 다르고 달라야 한다는 것도

                                                                        들꽃 언덕에서 알았다.

 

                                                                                       ㅡ 유안진 (1941~  )     [들꽃 언덕에서]  全文  ㅡ

 

 

" 바람의 언덕에서 찾아 낸  꿀 처럼  달콤하고 풍요로운 순간 " ( 3 )

 

" 바람의 언덕에서 찾아 낸  조용하고  풍요로운 순간 "  ( 4 )

 

" 바람의 언덕에서 찾아 낸  꿀 처럼  더 더욱 달콤하고 풍요로운 순간 "  ( 5 )

 

[신선대]의 풍광이 세차게 내려지고 있는 장맛비에 안개와 운무에 끝내 모습을 드러 내 주질 않았다.

 

여행은 일종의 쉼표다.  살던 곳과 전혀 다른 환경에서 평소와  좀

  다른 일상을 보내며 지금까지의 삶을 돌아 보기에 딱 좋은 기회다 

 

 

 

좋은 일 뒤에는 항상 그것을 이루게 해준 고마운 사람들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2011.7.10  헛똑이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