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 여행/오른 山 & 들녘

우리들이 모인날

by 하기* 2012. 2. 1.

 

 

 

 

 

  우리들이 모인날

 

 

2월이 시작되는 날, 춥고 눈도 내린날이 였는데  우리는 씩씩하게 모였다

그리고 山에도 오르고 수다들 떨다가  우리가 늘 이용하는 아늑한 집에서 

막걸리 몇잔에  이곳에 유명한 송이버섯 요리로  오찬을 그럴싸하게 했고

모든 회원이 멋대로 고스톱에 낮잠도 자며,그때 그 님들 생각에 흐뭇해서

웃기도 했다.가끔은 가끔은 말이다.이런날을 만들 수 있는 광통회가 있어

참 좋다.정말 좋았다. 우리 모두 건강하자, 그리고 더 씩씩하게 주고 받자

우리가 나눌 수 있는 이 사랑을.....      이천십이년.정월 대보름날에 하기

 

 

장은숙    ㅡ 첫사랑 ㅡ

 

 

 

흰 눈이 소복히 내린날 이월 초 하루. 멀리 케불카 종점도 더 멀리 팔공산 동봉도 조용히 우리를 반겨주었다.

 

보라매/장닭/하기/ 그외 몇명은 ㅋ하하~  오늘 모임에 게으름뱅이들이었다....     사진제공:푸른꿈

 

언제나 [팔공산아 너는 나를 부른다]...이곳에 와 서면 온 몸이 불끈 솟구친다.그래서 일까? 뿌듯하다...

 

 

               [이월에는]

                                            ㅡ손계현 ㅡ

 

               나무 숲 밑을 웅성거리던 배고픈 들바람

               잠시 물러간 자리

               동면(冬眠) 속에 숨겨 두었던

               노란 테니스 공을 꺼내 보다                                           [評]

               문득 올려다 본 하늘은 명징(明澄)한 거울이었다.                       돌아보년 1월의 다짐들은 어느새 "훌쩍 강을 건너려 하고"있다.  

               작은 다짐들이 훌쩍 강을 건너려 하고                                  언제나 "다짐"은 다짐"으로 끝나버리는 것이 범인(凡人)의 삶이다.                                

               꽃샘추위에 오돌오돌 떨고 있을                                          뭇 생명들의 "힘찬 물 오름이 시작되고", "세월은 부지런히 봄밭을

               삼월이 눈앞에 서성인다.                                                   달구어 가는데",  상대적으로 "새해의 다짐"은 현실화할  가능성이

               지난 가을에 잘 다듬었던 마른 가지에                                  점점 멀어져 간다.어김없이 생명을 가꾸는 자연 앞에서 "후회하며 

               힘찬 물오름이 시작되고                                                    날마다 후회하며" 봄을 맞고 또 보냐야 하는 것이범상인의 삶이다

               노란 병아리 떼가 학교 운동장에서                                          그러나 올려다본 봄 하늘은 " 명징한 거울로 / 나를 지켜 있"다

               일렬종대(縱隊)로 서 있다.                                                 이 사실을 잊지 않는다면 ,우리의꿈(봄)은 푸른 빛으로 이어질 가

               포름한 보라잎들이 눈 속에서 꼼지락거리며                          능성이 있음을 믿는다.                                      구석본 (시인)

               세월은 부지런히 봄밭을 달구어 가는데

               후회하며 날마다 후회하며

               올려다본 하늘은 명징한 거울로

               나를 지켜보고 있었다.

 

오늘은 이 庵   저 庵암  팔공산 4부능선을 획 돌아와 편히들 이렇게 앉았다.

 

누가 아직 안 왔는데...그래 맞다. 꼭 와야 할 사람이 않보인다.약천산님아 맞제?.

 

 

[막걸리 한 사발에 젓가락 장단 맞추시던 아버지]         

날이 춥다. 나는 집에서 영화를 보기로 했다. 1960.70년대 모두가 힘들고

고단하던. 그러나 가슴 따듯함이 물씬 풍기는 우리의 자화상같은 영화를

골랐다. 그 영화엔 내 어리 적 추억이 고스란히 들어 있었다.허름한 술집

에서 상다리가 부서져라 젓가락 장단을 맞추고,신명나게 노래를 불러 젖

          히던 장면들이 아스라히 스쳐 갔다.       ㅡ중략 ㅡ                                         

                      ㅡ 2011.2.2.동아일보 오피니언 [찻잔을 들며] 전수림 수필가의 글이다.

  

 

숙취 뒤에 맛보는 뜨끈한  해장국 같은 젓가락 장단......그것은 우리민족의 타고난 민족성이기도 하다.

 때로는 터질 것 같은 함성으로, 때로는 한을 삭이듯 절제된 음율로 장단을 맞추던 우리네 젓가락 장단. 

                                                                               ㅡ  [찻잔을 들며] 전수림 수필가의 글 ㅡ

 

 

요즘  아무리 기계음이 발달하고 노래방 문화가 깊게 들어와 있다 하더라도 길게 또는 짧게,

세게 또는 부드럽게, 순간순간  감성대로 자유자재로 장단을 맞추던  그 맛에 비할까..........

                                                                       ㅡ  [찻잔을 들며] 전수림 수필가의 글 ㅡ

 

윤기가  항상 고만큼 부족한 우리 모임에 따뜻함을 주는 女회원들에 고마움을 다들 알고있다.정말이다. 

 

 

                                          당신은 저의 어디부터 시작 했나요

                                          삐딱하게 눌러쓴 모자였나요

                                          약간 휘어진 새기 손가락이 었나요

                                          지금 당신은 저의 어디까지 사랑하나요

                                          몇번째 발가락에 이르렀나요

                                          혹시 제 가슴에만 머물러 있는건 아닌가요

                                          대답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제가 그러했듯이

                                          당신도 언젠가 모든걸 사랑하게 될테니까요.

 

                                                         ㅡ 성미정의 [처음엔 당신의 착한 구두를 사랑했습니다]中에서 ㅡ

 

 

 

 

바람 불고 눈발이 성글게 내리는 날,막걸리 한 대접 들이켠 어른들의 퇴폐쯤으로 여겨졌던

장단 소리가 새삼  그리워진다. 오늘 막걸리 좋아하는 지인을 불러 빈대떡에 걸쭉한 말걸리

한 사발 할까싶다. 아무것도 아니라고 생각했던 것들. 그런 아날고그적인 사소한 것들이 그

 리운 이유다.                                                                                                         

    ㅡ 2012.2.2.동아일보 오피니언[찻잔을 들며] 전수림 글(수필가 -구리문인협 부지부장)

 

저 팔공산 만댕이 위에 세찬 바람 맞으며 용감히(?) 눈 길속에 동봉을 올랐던 저 연인들의 모습이 정말 가벼워 보였다

 

 

막걸리 한 사발이면 아무 악기 필요없이 그만인 우리네 그것.

막걸리 한 사발에 젓가락 장단 맞추시던 아버지................. 

                            ㅡ  [찻잔을 들며] 전수림 수필가의 글 ㅡ

 

 

 

믿고 달릴 수 있는 길 위엔 늘 함께 있어 든든 했었습니다.

 

 

 

 

 

 

 

 

 

 

                                           떠나 보낸 사람

                                           가끔씩

                                           뒷 모습이 아른거려

                                           눈을  감는다

                                           살포시 퓽겨오는

                                           꽃내음에

                                           닥아 오는

                                           또

                                           다른 그리움

                                           이제는

                                           ㅡ  ㅡ

                                             ㅡ

 

한 사람이 진심으로 했던 어떤 일은 스러지지않고 언젠가 꽃을 피운다.

 

사랑은 더 사랑 하는 사람의 것    ㅡ 원태인 시인  ㅡ

 

                                            뒷모습이 저렇게 아름다운걸 본 사람이 있으면 손 들어봐요?  돌아온 길은 되돌아 보는게 아니라는걸 꼭 알아야 한다.우리는...

 

어디가면 저렇게 저렇게 신나게 웃을 수 있을까...ㅎㅎㅎㅎㅋㅋ

 

내가 오늘 이곳 팔공산 만댕이에 왔다가 지금 내려가려고  급행1 버스를 기다리는 중야요...아 ~ 저녁은 집에서 함께 하는걸로 해요  ㅡ 장닭 이 꽃닭 에게ㅡ

 

치열한 정오 지나 황홀한 노을 기다리는 모습들...

 

 

                                          오늘도 막차처럼 돌아온다

                                          희미한 불빛으로 발등을 밝히며 돌아온다

                                          ㅡ ( 중략 ) ㅡ

                                          내 안에도 눈 꺼풀은 한없이 허물어 지는데

                                          가끔씩 눈 들어 어두운 창밖을 응시하는

                                          승객 몇이 실려 돌아온다

                                          오늘도 많이 덜컹 거렸다

 

                                                              ㅡ 도종환의 [막차] 부분 ㅡ

 

 

 

 

 

《해가 바뀐다. 달력을 바꾼다. 어느새 이렇게 홀쭉해졌나. 파르르 떨리는 한 장 남은 달력을 떼고 나니

네모반듯한 흰 자리가 드러난다. 하얀 공백이 일년 만에 얼굴을 내민다. 까맣게 일년을 채웠던 숫자들은

다 어디로 사라졌나. 세월의 검댕을 홀로 피해간 하얀 공백을 보니 하루가, 한달이, 일년이 덧없다.

하릴없이, 다시 달력을 건다. 빈 독에 다시 쌀 채우듯이.》

문인수 시인. 창비 제공

‘이달에 만나는 시’ 2월 추천작으로 문인수 시인(67)의 ‘공백이 뚜렷하다’를 선정했다.

지난달 나온 시집 ‘적막 소리’(창비)에 수록된 시다. 시인 이건청 장석주 김요일 이원

손택수 씨가 추천에 참여했다.

 

'국내 여행 > 오른 山 & 들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통회 9월 나들이   (0) 2012.08.31
우리가 팔공산에 모인 날  (0) 2012.06.24
새해 하례식  (0) 2012.01.08
임진년 새해 첫 산행   (0) 2012.01.05
팔공산아 너는 나를 부른다  (0) 2011.10.0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