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 여행/우리나라

12월 바다

by 하기* 2012. 12. 15.

 

 

 

                                   12월 바다 

 

 

                                   겨울 비가 참 많이 내리는 십이월 십사일 오후. 동해바다 감포 부둣가에 나와 섰다.종일 내리는 비는 좀체

                                   멈추질 않고 계속 내렸다. 비 오는 날 바닷가를 거닐는 것은 어쩜 낭만이 있겠다는 생각을 해 본적이 있었

                                   는데 꼭 그렇치만은 않았다. 모든게 조금은 불편했다. 아름다운 영상을 얻어오지 못한게 못내 서운했어도

                                   다시 또 갈 수 있다는 여운을 남겨 두었던게 어쩜 다행인지도 모르겠다.  정말 많이도 내렸던 겨울비 였다

                                   가물었던 대지위에도 메말라랐던 동해 바닷가에도 촉촉함이 스며들고 있었다. 그렇게 넉넉함을 얻고왔던

                                   12월 바다 여행이었다.  한가롭게 밧줄에 통통배를 묶어두고 조용히 쉬고 있는 풍경들이 정말 좋아보였다

 

 

 

 

                                               [ 떠날 수 없는 배 ]  

                                                                             ㅡ 문재철 시인 ㅡ

                                               닻줄에 묶인채 

                                               움직이지 못하는 배가 

                                               여기에 있습니다 

                                               물이 없어서도 아니고    

                                               돛을 올리지 못 해서도 아닙니다

                                               묶여있는 노는 꿈쩍도 않고 

                                               갈 수 없는 물길에는 

                                               그리움만 출렁 출렁 파도를 칩니다  

 

                                               그냥 노를 저어 가고 싶은데

                                               묶여있는 닻줄

                                               꽁꽁 묶여 있는 그리움이

                                               무서워 그냥 메어 있습니다.......                     

 

 

 

 

 

 

 

 

참석했던 여송산악회 회원들은 푸짐한 오찬 상을 받았다.

 

회장단에게 이제야 조용히 감사함을 전 한다.

 

                

 

굽이 돌아가는 길

                           ㅡ 박노해ㅡ
올곧게 뻗은 나무들보다는
휘어 자란 소나무가 더 멋있습니다.
똑바로 흘러가는 물줄기보다는
휘청 굽이친 강줄기가 더 정답습니다.

일직선으로 뚫린 빠른 길보다는
산 따라 물 따라 가는 길이 더 아름답습니다.

곧은 길이 끊어져 길이 없다고
주저앉지 마십시오.
돌아서지 마십시오.

삶은 가는 것입니다.
그래도 가는 것입니다.
우리가 살아있다는 것은
아직도 가야 할 길이 있다는 것

곧은 길만이 길이 아닙니다.
빛나는 길만이 길이 아닙니다.

굽이돌아 가는 길이 멀고 쓰라릴지라도
그래서 더 깊고 환해져 오는 길
서둘지 말고 가는 것입니다.

서로가 길이 되어 가는 것입니다.
생을 두고 끝까지 가는 것입니다.

 

 

 

 

 

 

 

                   [홍조]

                                                    - 이시형(1949 ~  ) -

 

                 내산 형수의 욕은 온 동네가 알아주는 욕이었다.   아침부터 새 샘가에서 쌀을 일다 말고  " 저 자라처럼 목이 잘쑥한 위인이

                 밤새도록 작은마누래 밑구녕을 게 새끼 구럭 드나들듯 들어갔다 나왔다 들어갔다 나왔다 해쌓더니만 새복에 글씨 부엌이서

                 코피를 한 사발이나 쏟고는 지금 비틀배틀 배틀재로 넘어가는구만 " 하고는 돌아서서 코를 팽 풀다가 어린 나를 발견하고는

                "아따 데름 오래간만이요 잉" 하며 잔주름이 접히는 상큼한 눈웃음을 웃으면 내 얼굴은 그만 홍조로 붉게 달아오는 것이었다.

        

                 - 시평 -

                    욕이 판소리 가락 같다. 따라 읽다보니 얼씨구 추임새가 일 듯하다. 매은 양념과 구수한 양념이 잘 버무려진 남도

                    음식 앞에서 감칠맛 나는 욕이 한껏 해학미를 돋운다. 이런 욕은 극단적으로 치달을 수 있는 분을 여유 있게 풀고

                    삭이는 지혜의 방편이 된다.   실컨 욕을 먹어가면서도 헤헤헤 마냥 즐겁게 밥을 먹던 욕쟁이 할머니 집이 그립다.

                    그 신명나던 욕은 다 어디로 가버렸을까.......                                                                            (손택수 -시인)

                                                                                                          

                                                                                                               [중앙일보]  시가 있는 아침(2011.12. 02.)에 게재됐던 詩

 

 

 

 

     

                                                사랑은 사소한 데서 출발한다 

                                                가늘게 떨리는 귀밑거리

                                                정맥이 드러나는 희고 긴 손 

                                                영화표 한장

                                                그날 처음 가까이에서 본 그남자의 턱 수염따위 

                                                사랑은 저렇게 미미했다가 이윽고 창대해 지는 것인데

                                                사랑의 끝은 왜 그토록 추레 할 때가 많은가

                                                사랑은 늘 시작이어야 한다

                                                그래야 사랑하다가 죽을 수 있다

                                                                            ㅡ 이문재 시인의[꽃이 져도 너를 잊은적이 없다] 本文 중에서 ㅡ 

 

 

 

좌측에 보이는 감포 바닷속 작은 무인섬이 무열왕(김춘추)능이 바닷속에 있는 곳이다.  

 

 

 

 

 

 

 

                                       .................

                                      뻘밭 같은 한 세상

                                      묶인채로 빠진채로

                                      떠나지 못하는 마음만

                                      파도에 메어

                                      쇠 사슬에 메어 

                                      바닷가를 서성이다 해가집니다 

 

                                      님이여! 날이면 날마다 길을 나서는

                                      내 영혼의 그리움

                                      나를 묶는 밧줄은

                                      놓아 주질 않고

                                      해 지는 바닷가에 앉아

                                       ..............

                                      떠나지 못하는 마음만 둥둥 웁니다.     

 

                                                                                       ㅡ문재철의 [떠나지 못하는 배] ㅡ

 

 

 

 

돌아오는 길에  감포 漁시장에 들려 싱싱한 생선들을 보며 눈 요기만 했다,

 

 

 

 

 

 

 간이 정류장에서 집으로 가는 완행버스를 기다리는 村夫의 모습을 보면서 우리가 탄 전세버스는 서서히 움직이기 시작했다. 

 

 

 

                                                                                                                                                                                     2012.12.14. 하기

 

 

 

'국내 여행 > 우리나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귀촌을 준비중인 [근이]를 만나다  (0) 2013.06.06
동해안 바닷가 사람들  (0) 2013.06.06
정동진을 가다  (0) 2012.10.06
[스크랩] 여름 휴가  (0) 2012.10.02
정선 5일장터   (0) 2012.10.0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