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걷고 타고 담았다/숲&풍경&바다

눈이 내리네

by 하기* 2016. 1. 29.







                                      눈이 내리네



                                      아침에 눈이 내리더니 이내 비로 변해 버렸다.그러더니 진눈깨비가 내리고...

                                      뭔 도시가 이 모양인지 시원스럽고 멋지게 눈(雪) 한번 내리는 걸, 받지를 못하나, 원...


                                      마음에 썩 들지는 않아도 그래도 몇장에 사진을 만들겠다고 창문을 열고 왔다 갔다 하며

                                      분주하게 요란을 떨어야 했다.뭐도 못하는 넘이 연장만 나무란다고, 정성을 드려 익힌대로

                                      조작을 하지 않으면서도 사진이 이모양이라고 투덜거리니 나는 멀어도 한참이 멀은것같다.


                                                                                                                                      2016.1.28. 아침에  하기





211











           

                      [인생의 길, 길 위에 인생!]

                      정해진 코스를 맴돌다 다시 돌아오면 그것은 유랑이다.
                      길 위에서 "또 다른 길" 을 찾을 수 있다면 그것이 유목이다.

                      ㅡ전략 ㅡ

                       이것이 오면 저것이 가고, 하나를 잃으면 또 다른 것을 얻게 되는 것이 시공의 섭리이므로.
                       하여 인간은 길 위에 나서야 한다. 아니, 인생 자체가 곧 길이다. 한 곳에 머무르면서 안정과
                       복락을 기다리는 건 무의미 하다. 시공이 움직인다면 한 발 앞서 나갈 뿐이다. 목적도 방향도
                       필요 없다. 다만 갈 수 있으면 된다.카프카의 말대로 "여기서 떠나는 것, 그것이 나의 목적지다."

                       특히 병신년은 역마의 해다. 모든 사람의 마음에 길 위를 떠돌고 싶은 마음이 용솟음칠 것이다.
                       하여. 더많은 이들이, 더 많은 곳으로 흘러가고 또 흘러올 것이다.
                       길 위에서 "또다른 길"을 찾을 수 있다면 그것은 유목이다.  이미 정해진 코스를 맴돌다가 다시
                       "떠나기 전"의 길로 되돌아 온다면 그것은 유랑이다. 명리학에서 말하는 역마살은 유랑이 아닌
                       유목을 향한 우주적 충동이다. 그 충동에 감응 하려면 지도가 필요하다. ㅡ후략 ㅡ
           
                                                                                     ㅡ고미숙 고전평론가 <고려대 국문학 박사> ㅡ
                                                          중앙일보 오피니언 2016.1.22. 로드클래식 게재中에서 옮겨 타이핑침









                              [바람의 풍경]

                                                                               ㅡ 김석인 ㅡ

                              억새의 목울대로 울고 싶은 그런 날은

                              그리움 목에 걸고 도리질을 하고 싶다

                              있어도 보이지 않는 내 모습 세워놓고


                              부대낀 시간만큼 길은 자꾸 흐려지고

                              이마를 허공에 던져 비비고 비벼 봐도

                              흐르는 구름의 시간 뜨거울 줄 모른다


                              내려놓고 지워야만 읽혀지는 경전인가

                              지상에 새긴 언약 온몸으로 더듬지만

                              겨울은 화답도 없이 저녁을 몰고 온다.

 

                                                      ● 동아일보 신춘문예 시조 당선작품

                                                       ㅡ 김석인 <2014.1.1. 동아일보 신춘문예 시조당선>







                  TO :

                  건강 하시지요? 요란스레 추웠지요, 그러더니 눈이 내리고,짖눈개비와

                  함께 비도 내리고...탁했던 목 마름 같은게 그래도 없어진것 같아 좋습니다.

                  1월의 끝날 전일 입니다. 이런 생각을 해 봅니다. 丙申年을 맞았었는데 뭔가

                  아쉬웠는데 하는 마음이 있었다면 훌훌 잊어버리세요. 설날이 있잖아요. 그래서

                  좋습니다. 설날에 다시 한번 몸을 추수려 보면 어떨까요? 언제나 큰 사랑 주고 소식

                  전해줘 고맙습니다.모든게 조금만 더 좋아졌으면 하는 바램입니다.그렇게 멋지시구요. 

                  아!  세배 돈. 마련해야겠네요. 기다리는 사람이 많으면 행복한 것 아닐까요? 건강하세요.

          

                        2016.01.30. 하기


                                               Thank you






'걷고 타고 담았다 > 숲&풍경&바다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백꽃  (0) 2016.03.24
난이 꽃을 피웠다.  (0) 2016.03.11
번개 시장  (0) 2015.12.28
가을이 갑니다  (0) 2015.11.24
메타세콰이어 나무숲길 ( 2 )  (0) 2015.11.18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