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걷고 타고 담았다/숲&풍경&바다

밤 골목

by 하기* 2017. 2. 26.







                               밤 골목  



                               지난 목요일(2/23) 모임에 만남이 끝나고 어둠이 짙어질 때 집으로 오면서 우연찮게

                               [태야]와 함께 열심히 자동차 정리하며 일하며 여유가있던 골목길을 지나게 되었다.

                               눈에 들어온건 인적의 모습은 뜸 했는데, 밤 골목 길의 아름다운 불빛은 따뜻했었다.







                  [한 번쯤]

                  사소한 일로 마음 오래 펴지지 않거나
                  어느 순간 그이가 이해할 수 없다 느껴질 때
                  한번쯤
                  내 방식이 아닌
                  그이 방식으로 생각해 보자

                  오래 기다려보고 돌아서 눈물 흘려보자
                  그래도 섭섭하거나 서러운 마음 일 때는
                  한번쯤
                  내 가진 모든 것
                  그에게 맡겨 보자

                  가는 길 팍팍하고 늘 혼자라 느낄 때도
                  저미는 그리움으로 그리운 사람이 되자
                  한번쯤
                  뒤로 물러서서
                  젖은 나를 바라보자.

                              ㅡ권갑하 시인 <조산일보 경향신문 신춘문예당선. 한국 문인협회 시조분과회장>





           [ 문 ]
                                                -박철(1960~)
           혼자 먹는 밥 같지만 사실
           밥상이 좀 떨어져서 그렇지
           우리 다 같이 먹는 거다
           밥집 하나가 넓은 쟁반 하나만 하지 않니

           혼자 자는 것 같지만
           우린 다 한 이불 덥고 자는 거야
           손발이 이리저리 불거져 나와 그렇지
           자다 보면 굴러가기도 하는 거지

           그러며 혼자 계신 어머니는
           혼자 사는 늙은 아들을 보내며
           조용히 문고리를 풀어놓습니다

             ............

          ☎ 문을 열고 (혼자 사는) 아들을 보내는 (혼자 사는) 어머니의 궤변 같지만, 인간은 관계적 존재이다.
            “태초에 관계가 있었다.”(마틴 부버) “이리저리 불거져 나와” 있는 것 같아도, 모든 ‘나’는 모두의 ‘너’이다. 
             나-너(Ich-Du) 사이의 물리적 거리가 관계를 지우지 못한다.그러니 혼자 밥 먹고 혼자 자는 것처럼 살지

             말 일이다.그럼에도 불구하고 “혼자 사는 늙은 아들”을 보내는 “혼자 계신 어머니”의 모습이 슬픈 이유는

             무엇인가. 우리는 한 몸처럼 서로 ‘붙어’ 살고 싶은 거다.                       <오민석 시인·단국대 교수>

             [출처: 중앙일보] [시가 있는 아침]  


 








             "벌써"라는 말이
              어울리는 달은 아마 없을 것이다.
              새해 맞이가 엊그제 같은데
              벌써 2월
              지나치지 말고 오늘은
              들의 매화가지를 살펴 보아라
              항상 비어있던 그 자리에
              어느덧 벙글고 있는 꽃
              (- - - -)
              외출을 하려다 말고 돌아와
              문득
              털 외투를 벗는 2월은
              현상이 결코 본질일 수 없음을
              보여 주는 달
                                      ㅡ오세영  [2 월] 중 ㅡ
               ..........


                  ☎ 세계는 부르는 이름 앞에서만 존재를 드러내 밝힌다.
                      설 지나면 2월도 대강 종친다.

                      그대, 올해도 이렇게 덧없이 보낼 건가. 시간은 빠르다.

 











Good  Night


        TO :

           건강들 했는지요?  그렇게 2월도 끝트머리에 와 있습니다.

           이제 3월이 되면 하여튼 모든게 조금은 더 바빠 질 겁니다.

           그래도 우리 절대 힘 많이 내지말고 조금은 천천히 서로가

           서로를 찾을 수 있는 여유 잊지 않았으면 정말 좋겠습니다.

           건강하길 바랍니다. 3월에는 따뜻한 봄소식 기다립니다.     2017.2.26. 하기 




'걷고 타고 담았다 > 숲&풍경&바다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목련  (0) 2017.03.25
매화밭에서  (0) 2017.03.24
정월 대보름  (0) 2017.02.17
12월에 찾은 메타세콰이어 길  (0) 2016.12.19
11월에 찾은 메타세콰이어 길  (0) 2016.11.1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