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걷고 타고 담았다/숲&풍경&바다

목련

by 하기* 2017. 3. 25.





                                   


                                      목련  

 



              꽃이 필 때, 

              목련은 몸살을 앓는다 
              기침할 때마다, 

              가지 끝 입 부르튼 꽃봉오리
              팍팍, 터진다 


              떨림이 없었다면,

              사랑은 시작되지 않았을 것이다 
              그러나 더 이상, 

              떨림이 마음을 흔들지 못할 때,        

              한 시절 서로 끌어안고 살던 꽃잎들
              시든 사랑 앞에서
              툭, 툭, 나락으로 떨어진다 

              피고 지는 꽃들이 
              하얗게 몸살을 앓는 봄밤,
              목련의 등에 살며시 귀를 대면
              아픈 기침 소리가 들려온다

                                      - 박후기作 <꽃기침>중에서 

           ■ 목련은 너무 화사하게 피었다가 순식간에 허무하게 지는 꽃이다. 피는 모습과

              지는 모습이 너무나 극적인 꽃이 목련이다.    사실 꽃나무 처지에서 보면 꽃이

              핀다는 건 아픔을 동반하는 일일 것이다.   수없이 많은 도전과 망설임 끝에 한

              송이 꽃이 피는 것일 테니 말이다.  그렇게 어렵게 핀 꽃이 `툭 툭` 떨어지니 그

              허망함은 말해 무엇할까. 그래서 시인은 "목련의 등에 살며시 귀를 대면 / 아픈

              기침소리가 들려온다" 는 절창을 만들어낸다. 며칠 전부터 여기저기 목련이 꽃

              을 피우기 시작했다. 반갑고 또 한편으로는 아프다.  얼마 안 있어 장열하게 지

              고 말겠지만 그럼에도 목련은 여전히 아름답다.

 

       그래, 피어났으니 지는 날도 있어야지....다 봄날에 벌어지는 일인 걸 어찌하랴.

                 2014.3.31. 매일경제 오피니언 <시가 있는 월요일> 게재    [허연 문화부장(시인)]







           [목련이 피는 이유]
                                            ㅡ최서진 ㅡ
           어둠이 지나가는 사이

           꼭 그 사이만큼 그늘을 밀어낸다
           허기 같은 빗물자국
           달빛의 무늬를 안에 새겨 넣으며
           하얀 바람의 문장으로
           홀로,뜨거워진다
           왜냐하면
           바람의 이마 사이로
           별과 달과 눈을 맞추는 밤이 흐르고
           팔배개를 해주는 봄맞이 오기 때문이다.


                                      ㅡ최서진 : 충남 보령 출생 2000년 "심상"으로 등단
                                        시집: 아몬드나무는 아몬드가 되고 [문학박사 한양대 출강]




            [목련]
                                                  ㅡ김선굉 시인 ㅡ

                     흰 구름인가 했더니 백설의 목련이네
                     백설의 목련인가 했더니
                     흰 눈이고 선 소슬한 탑이네
                     한채의 탑인가 했더니
                     생각 깊은 소복의 아낙이네
                     소복의 아낙인가 했더니
                     굽이치는 눈보라의 길이네
                     어찌 하자고 저 봄의 회오리
                     한 그루 나무로만 몰아쳐
                     구름이며 탑이며 아낙이며
                     회오리가 여는 길을 따라
                     폭설 휘몰아치는 자욱한 나비떼인가.


                                           ㅡ김선굉 시인 = 1952년 영양출신.1982년 심상"으로 등단. 현재 대구문학관 운영위원장




                     [목련]
                                             ㅡ허수경ㅡ
                     뭐 해요?
                     없는 길 보고 있어요

                     그럼 눈이 많이 시리겠어요
                     예, 눈이 시려설랑 없는 세계가 보일 지경이예요

                     없는 세계는 없고 그 뒤안에는
                     나비들이 장만한 한 보따리 날개의 안개만 남아있네요.

                     예, 여적 그러고 있어요
                     길도 나비 날개의안개 속으로 그 보따리 속으로 사라져 버렸네요

                      한데
                      낮달의 말은 마음에 걸려 있어요
                      흰 손 위로 고여든 분홍의 고요 같아요

                      하냥
                      당신이 지면서 보낸 편지를 읽고 있어요
                      짧네요 편지, 그래서 섭섭하네요

                      예, 하지만 본 적 없는 눈동자 같아서
                      이 절정의 오후는 떨리면서 칼이 되어가네요

                      뭐 해요?
                      예, 여적 그러고 있어요
                      목련, 가네요,



Thank you


'걷고 타고 담았다 > 숲&풍경&바다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계단 길을 오르며.  (0) 2017.08.15
반곡지   (0) 2017.04.15
매화밭에서  (0) 2017.03.24
밤 골목  (0) 2017.02.26
정월 대보름  (0) 2017.02.1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