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 여행/우리나라

합천 영암사지

by 하기* 2019. 12. 1.








                            합천 영암사지 ( 陜川 靈巖寺址 )



                              폐사지 (廢寺址). 절은 망하고 터만 남은곳, 그곳을 우리는 무엇 때문에 찾는가? 남은 것 만큼이나

                           사라진 것과의 대화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비어 있음으로 말미암아 가득 차 있는 까닭이다.

                           그러나 단지 그곳의 허허롭고 무상함에 이끌려 우리의 발길이 닿기도 하는 법이다.삶이 어찌 환희와

                           충만과 영원만으로 완전할 수 있으랴.허허로움과 쓸쓸함과 무상함이 오히려 우리의 본래 모습에 더

                           가깝지 않은가. 하여 가끔식은 이런 것들에 온전히 자신을 맡긴 채 초라한 제 그림자를 응시하는것,

                           이것이 무너진 절터를 서성이는 이유일 때도 있는 것이다.

                           그러나 영암사터는 우리에게 그런 여백을 허용치 않는다.비록 아득한 옛날에 절은 없어졌지만 남은

                           자취만으로도 넘치도록 사랑스러워 우리의 눈과 마음이 바빠지기 때문이다. 옛 절터를 지키고 있는

                           낱낱의 유물이 탄탄하고 값지고 보배로워 그들이 자아내는 향기에 취하고, 절터를 품에 안은 황매산

                           ( 黃梅山  ▲ 1,108m ) 바위 봉우리의 빼어난 모습에 홀려 여념이 생길 수 없는 까닭이다.

                                                                          ㅡ[지식백과] 염암사터 (답사여행의 길잡이. 한국문화답사회 )






                                 절터가 지금의 모습을 갖추게 된 데는 마을사람들의 수고로움과 애씀이 컸다.

                              1933년 일본인들이 몰래 가져가려던 쌍사자석등을 지켜낸 것도 마을사람들이었고,

                              1959년 면사무소에 있던 그 석등을 기어이 찾아다 애초의 자리에 세운 것도 그들이었다.

                              뿐만 아니라 주민들은 무너진 채 방치되던 삼층석탑을 바로세웠고, 마을의 고가 두 채를

                              옮겨 지어 절터를 지켰다. 흙 속에 묻혀 있던 금당터를 땅 위로 드러낸 것 또한 그들이었다.

                              비록 집 두 채를 옛터 위에 세우는 바람에 절터의 본 모습을 일부 훼손하거나 볼 수 없게

                              만드는 실수를 범하기도 했지만, 이들의 억척스러움과 끈질김이 아니었다면 영암사터가

                              오늘의 모습이나마 간직하기는 어려웠을 것이다.

                                                               ㅡ[지식백과] 영암사터 (답사여행의 길잡이 한국문화유산답사회)






                           1984년 동아대학교 박물관에 의해서 절터의 일부가 발굴, 조사되었다. 이때의 발굴로 이미 땅위에

                           드러나 있던 유물과 유적 말고도 중문터, 회랑터, 회랑에 이어진 건물터, 금당 북쪽의 건물터 따위가

                           추가로 확인되었다. 회랑이 있었다는 사실은 영암사의 사격()을 짐작하는 데 도움을 준다.

                           경복궁 회랑에서 보듯이 왕조시대에서 회랑은 곧 왕권의 상징이었다.따라서 회랑이 있거나 있었던 절,

                           예를 들면 불국사나 감은사, 황룡사, 미륵사 등은 왕실과 깊은 관계가 있거나 국가적인 중요성을 갖고

                           있었다. 회랑의 존재로 보아 영암사 또한 이런 절들에 맞먹거나 버금가는 비중 있는 절이었으리라는

                           짐작이 가능하다. 그것은 절터에 현존하는 여러 석조물의 수준으로도 능히 뒷받침되는 일이기도 하다.

                           아무튼 오늘날 우리가 보는 영암사터는 1984년의 발굴조사를 끝내고 정리한 모습이다.

                                                                           ㅡ[지식백과] 영암사터(답사여행의 길잡이, 한국문화유산답사회)








                       영암사지 삼층석탑 ( 靈巖寺址 三層石塔 )

                                                              보물 제 486호

                                                                경상남도 합천군 가회면 황매산로1. 둔내리


                           이 탑은 가운데 부분이 무너져 있던 것을 1969년 복원하였으며 1차 금당지 앞에 서 있다.

                           2단의 기단위에 세워진 3층 석탑으로 통일신라 석탑의 전형양식을 따르고 있다.

                           기단(基壇)은 모서리와 가운데에 기둥 모양을 붙여 세웠다. 탑신부(塔身部)는 몸돌과

                           지붕돌이 각각 한돌로 되어있고, 끝돌에는 모서리에 기둥을 세웠다.1층돌이 약간 높은

                           편이며 2~3층은 크게 줄었다. 지붕돌 받침은 1단씩이고 지붕의 경사가 원만한 곡선으로

                           흘러내려 네귀퉁이에서 살짝 치켜 올라갔다. 탑의 머리 양식부분은 전부 없어졌으나 3층 

                           지붕의 위층 기단과 1층 몸돌이 약간 높은 느낌은 있으나 전체의 기능을 잃지않고 있으며

                           각 부재의 짜임새또한 간결하다. 신라 석탑의 양식을 잘 이어 받고 있으나 기둥틀 받침수가

                           줄어든 것으로 보아 건립시기는 9 세기 경으로 짐작된다.










                                영암사터에 세워진 통일신라시대의 석등으로, 1933년경 일본인들이 불법으로 가져가려는 것을

                                마을 사람들이 막아 면사무소에 보관하였다가 1959년 절터에 암자를 세우고 원래의 자리로 옮겨 놓았다.

                                각 부분의 양식이나 조각으로 보아 통일신라 전성기에 비해 다소 형식화된 면을 보이고 있어 통일신라 후기인

                                9세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여겨지며, 보은 법주사 쌍사자 석등(국보 제5호)과 견줄 수 있는 걸작이라 할 수 있다.





                                       영암사지 쌍사자상 ( 靈巖寺址 雙獅子像 )

                                                                             보물 제 353호

                                                                                    경상남도 합천군 가회면 황매산로1. 둔내리


                                           영남사지에 세워진 통일신라의 석등으로 1933년중 일본인들이 마음대로 가져가는 것을 마을

                                        사람들이 막아 면사무소에 보관하였다가 1959년 원래의 자리로 옮겨 놓았다.위로는 지붕 돌을 얹었다.

                                        사자를 배치한 가운데 받침돌을 제외한 각 부분이 모두 통일신라의 기본 형태인 8각으로 이루워져 있다.

                                        사자의 뒷발은 아래 받침돌을 딛고 있으며 앞발은 들어서 뒷받침 돌을 받들었다.머리는 뒤로 향하고

                                        갈퀴와 꼬리 근육등이 사실적이다. 화사석은 4면에 창이 있고 다른 사면에는 사천왕상이 조각 되었다.

                                        지붕돌은 8각으로 앝고 평평하며 여덟곳의 귀퉁이 마다 자그만한 꽃조각이 솟아있다.

                                        통일신라 후기인 9세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여겨지며, 보은 법주사 쌍사자 석등(국보제5호)과

                                        견줄 수 있는 걸작이라 할 수 있다.







                           영남사지 쌍사자 석등

                                 이 석등은 통일신라시대에 조성된 것이다. 8각의 기대 측면에는 안상이 배치되었고,

                                 그 안상 안에 사자상이 조각되었다. 연화를 새긴 하대석과 쌍사자를 한 돌로 조각하였다.

                                 쌍사자는 앙련의 상대석을 받치고 있으며, 상대석 위의 8각 화사석에는 4면에 화창이 있고

                                 또한 사천왕상이 조각되어 있다. 8각의 옥개석에는 귀꽃이 있으며, 정상에는 연화문으로

                                 장식하였다. 석등 꼭대기의 상륜부는 없어졌고, 현재의 높이는 2.31m이다







합천 영암사지 쌍사자 석등

경상남도 합천군 가회면 둔내리 영암사 터에 있는 통일신라시대 석등.

단면이 8각인 전형적인 신라시대 양식으로, 가운데 받침돌 대신 사자가 윗받침돌을 지탱하고 있다.


















땡 Q .


                    영암사지 답사한날 2019.11.22.

                  편집한 날 :2019.12.01.




'국내 여행 > 우리나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주 양남 주상절리군 慶州陽南柱狀節理群   (0) 2020.04.26
맹꽁이 서식지 사계절(四季節)   (0) 2019.12.17
경복궁  (0) 2019.09.20
다녀 온 두 물이 만나는곳..  (0) 2019.09.03
백일홍을 찾아서  (0) 2019.08.2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