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걷고 타고 담았다/숲&풍경&바다

능소화 핀 내고장

by 하기 2 2023. 6. 27.

 

       능소화 핀 내 고장

 

 

                                                                                              대구 중구 진골목 담장

 

       이내 장마철로 들어서는 듯 후덥지근했던 날씨가 계속되던 때 우리 지역에

       초여름을 알리는 듯 화사한 능소화가 피었다는 소식을 접한 후  서너 곳을 찾아

       사진으로 담아 모아 두었던 능소화를 편집한 것이다. 장마비가 시원스레 내린다.

       아름다움 만큼이나 매력적인 능소화를, 꽃들이 대체로 없는 이 초여름에 만났다.   

                                                                                                         2023.6.27. 하기

 

 

 

      photo by 육남                                                         달성 남평문 씨 세거지 담장

 

        능소화는 중국 원산으로 우리나라 전역에서 심어 기르는 덩굴나무이다.

        나팔모양의 꽃은 색상이 화려하며 점잖고 기품이 있으며 줄기는 큰 키

        나무나 벽을 감고 올라가는 성질이 있다. 능소화는 덩굴나무로 7~9월에

        깔때기와 비슷한 종모양의 꽃이 피는데 한 가지에 5개~15개씩 차례로 피어난다.

 

 

 

 

            photo by 육남                                                달성 남평문 씨 세거지 담장

 

 

 

            photo by 육남                                                   달성 남평문씨 세거지 담장                                                                                                                                 

         능소화 꽃은 감질나게 한두 개씩 피지 않고 원뿔모양의

         꽃차례에 붙어 한창 필 때는 잎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많이 핀다.    

         한번 피기 시작하면 거의 초가을까지 피고 지고를 이어 간다. 

         꽃이 귀한 여름날의 아쉬움을 달래주는 능소화가 우리의 눈길을 끈다.

         고즈넉한 옛 시골 돌담은 물론 삭막한 도시의 시멘트 담, 붉은 벽돌담까지

         담장이라면 가리지 않는다.

 

 

 

                                                                                                 대구 중구 진골목 담장

 

         견디기 어려운 한여름의 뜨거운 태양과 장맛비를 이겨내고 피는 능소화의

         모습, 질 때도 시들지 않고 그대로 뚝뚝 떨어지는 모습이 선비의 절개를

         닮았다고 하여 양반 꽃으로 불렀고 조선시대에는 양반들이 주로 심었다.

 

 

 

                                                                                                  대구 중구 진골목 담장

 

 

 

                                                                                                대구 중구 진골목 담장

 

       그리고 옛날 과거 시험에서 장원 급제를 하면 임금님이 관모에

       길게 늘어뜨린 종이꽃을 꽃아 주었는데 그 종이꽃이 능소화를

       보고 만든 것이어서 어사화라고 불리기도 했다.

 

 

 

                                                                                                  대구 중구 진골목 담장

 

      능소화의 꽃말은 명애와 그리움인데  꽃말 그리움은 전설에서

      유래한 것이다. 그 소화의 무덤에서 피어난 꽃이 능소화라는 전설이 있다.

 

 

 

                                                                                                대구 중구 진골목 담장

      [능소화의 전설]
       옛날 옛날 복숭아 빛 같은 뺨에 자태가 고운 '소화'라는 어여쁜 궁녀가 있었다.
       임금의 눈에 띄어 하룻밤 사이 빈의 자리에 앉아 궁궐의 어느 곳에 처소가 마련되었다.

       어찌 된 일인지 임금은 그 이후로빈의 처소에 한 번도 찾아오지를 않았다고 합니다.
       빈이 여우 같은 심성을 가졌더라면 온갖 방법을 다하여 임금을 불러들였건만 아마도

       그녀는 그렇지 못했나 보다. 빈의 자리에 오른 여인네가 한 둘이 아니었기에 그들의

       시샘과 음모로 그녀는 떠밀려 궁궐의 가장 깊은 곳에서 기거하게 되었는데 빈은 그런

       음모를 모르는 채 마냥 임금이 찾아오기만을 기다렸다.

 

 

 

                                                                                                대구 중구 대봉동 능소화 폭포

 

         혹시나 임금이 자기 처소에 가까이 왔는데 돌아가지는 않았는가 싶어 담장을

         서성이며 기다리고 발자국 소리라도 나지 않을까 그림자라도 비치지 않을까 담장을

         너머 쳐다보며 어느 여름날 기다림에 지친 불행한 여인은 상사병으로 세상을 뜨게 되었다.

 

 

 

 

                                                                                                대구 중구 대봉동 능소화 폭포

 

          권세를 누렸던 빈이었다면 초상도 거창했겠지만 잊힌 구중궁궐의 한 여인은 

          초상조차도 치러지지 않은 채 담장 가에 묻혀 [ 내일이라도 오실 임금님을

          기다리겠노라] 한 그녀의 유언을 시녀들은 그대로 시행을 했다. 더운 여름이

          시작되고 온갖 새들이 꽃을 찾아 모여드는 때 빈의 처소 담장에는 조금이라도

          더 멀리 밖을 보려고 높게 발자국 소리를 들으려고 꽃잎을 넓게 벌린 꽃이 피

          었으니 그것이 능소화이다.

 

 

 

 

                                                                                                 대구 중구 대봉동 능소화 폭포

 

          능소화는 덩굴로 크는 아름다운 꽃이다. 능소화는 세월이 흐를수록 

          더 많이 담장을 휘어감고 밖으로 얼굴을 내미는데 그 꽃잎의 모습이

          정말 귀를 활짝 열어 놓은 듯하다. 한이 많은 탓일까 아니면 한 명의

          지아비 외에는 만지지 못하게 하려는 의도였을까. 꽃 모습에 반해 꽃을

          따다 가지고 놀면 꽃의 충이 눈에 들어가 실명을 한다니 조심해야 한다.

          또한 일부전설에 의하면 연못가변 바위를 타고 오르는 능소화를 보면

          어린아이들의 눈을 가려 주어야 한다고 한다. 장미는 그 가시가 있어 더욱

          아름답듯이 능소화는독이 있어 더 만지고 싶은 아름다움이 있기 때문이다.

 

 

 

 

 

2023.6.27. 편집: 하기

 

 

 

'걷고 타고 담았다 > 숲&풍경&바다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양(峨洋) 폭포  (30) 2023.08.07
장맛비에 꽉 차버린 낙동강  (30) 2023.07.21
송해 공원  (15) 2023.06.03
포항 앞바다 영일만  (35) 2023.05.31
이곡동 장미  (45) 2023.05.28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