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걷고 타고 담았다/숲&풍경&바다

억새

by 하기* 2016. 11. 14.

 

 

 



 

                     억새  

 

 

 

 

 



            억새꽃 다발은
            사랑하는 이에게는
            보내지 마세요


            다만 그대를
            가을들녁에 두고 떠난 이의
            뒷모습에 보내세요

            마디마디 피가 맺힌
            하얀 억새꽃

            불같은 미움도 삭혔습니다
            잠 못 드는 그리움도 삭혔습니다
            솟구치는 눈물도 삭혔습니다

            삭히고 삭혀서
            하얗게 바래어 피었습니다
            떠난이의 그 호젓한 뒷모습에
            아직도 가을이 남아 있거든
            억새꽃 다발을 보내셔요
            한 아름 가득 보내세요

                          ㅡ김순이 시인이 쓴 "억새의 노래"  전문

 




 

                             [ 갈대 ]
                                                                            ㅡ김윤현 

                                                               
                           생각이 깊으면 군살도 없어지는 걸까                   
                           삶을 속으로 다지면 꽃도 수수해지는 걸까                  
                           줄기와 잎이 저렇게 같은 빛깔이라면                       
                           두 손을 가지런히 모으는 묵상이 필요할까                
                           물 밖으로 내민 몸 다시 몸속으로 드리워                    
                           제 마음속에 흐르는 물욕도 다 비추는                         
                           겸손한 몸짓이 꽃의 향기까지 지우네            


             
                                ㅡ 갈대는 고뇌하는 만큼 겸허한 모습을 지닌 식물이 드물기 때문일 것이다.

                                    최소한의 줄기와 잎, 꽃과 줄기의 수수한 빛깔, 그것은 무채색 옷을 입은

                                    수행자가 아닐 것인가.마음을 모으기위해 합장을 하고,물빛 거울에 자신
                                    을  비춰보는 묵상의 행위. 이는 곧 시인이 지향하고자 하는 삶의 소실점.

                                    여기까지는 누구나 쉽게 따라갈 수 있겠으나,   갈대 꽃에 향기가 없다는

                                    사실을 시로 녹여낸 사람은 흔하지 않다.                     ㅡ(시인  장옥관)  


 




                          [ 갈 대 ]
                                                             - 신경림 (1936 ~   )
                          언제부턴가 갈대는 속으로

                          조용히 울고 있었다.
                          그런 어느 밤이었을 것이다. 갈대는
                          그의 온몸이 흔들리고 있는 것을 알았다.

                          바람도 달빛도 아닌 것,
                          갈대는 저를 흔드는 것이 제 조용한 울음
                          인 것을

                          까맣게 몰랐다.
                          ㅡ산다는 것은 속으로 이렇게
                          조용히 울고 있는 것이란 것을
                          그는 몰랐다.

                              ㅡ삶이 일정 정도 눈물이라는 것에 공감할 때,수직적 위계가 사라지고

                              수평적 코뮌<commune>이 만들어진다. 나만이 아니라 다른 갈대들도

                              속으로 울고 있다는 것을 알 때,슬픔의 연대(連帶)가 생긴다. 갈대들이

                              늘 모여, 함께 사는 이유다.약한 것들이 함께 모여 서걱거릴 때,슬픔은

                              사랑으로 진화한다. 너도 울고 있구나. 나도 울고 있다.

                                                                        <오민석 시인. 단국대 영문학과 교수>

                                2016.10.24.월요일 中央日報 오피니언[시가 있는 아침]에 게재된 내용

       

         



                   [ 가을 억새 ]
                                                    - 정일근 


                   때로는 이별하면서 살고 싶은 것이다.
                   가스등 켜진 추억의 플랫홈에서
                   마지막 상행 열차로 그대를 떠나보내며
                   눈물 젖은 손수건을 흔들거나
                   어둠이 묻어나는 유리창에 이마를 대고 
                   터벅터벅 긴 골목길 돌아가는 
                   그대의 뒷모습을 다시 보고 싶은 것이다. 

                   사랑 없는 시대의 이별이란 
                   코끝이 찡해오는 작별의 악수도 없이
                   작별의 축축한 이별사도 없이
                   주머니에 손을 넣고 총총총
                   제 갈 길로 바쁘게 돌아서는 사람들
                   사랑 없는 수많은 만남과 이별 속에서
                   이제 누가 이별을 위해 눈물을 흘려주겠는가
                   이별 뒤의 뜨거운 재회를 기다리겠는가 

                   하산길 돌아보면 별이 뜨는 가을 능선에
                   잘 가라 잘 가라 손 흔들고 섰는 억새
                   때로는 억새처럼 손 흔들며 살고 싶은 것이다.
                   가을 저녁 그대가 흔드는 작별의 흰 손수건에
                   내 생애 가장 깨끗한 눈물 적시고 싶은 것이다

 


 

                        [ 11월 ... ]
                                                  ㅡ 오세영 시인ㅡ


                        지금은 태양이 낮게 뜨는 계절
                        돌아보면
                        다들 떠나 같구나.
                        제 있을 꽃자리
                        제 있을 잎자리
                        빈들을 지키는 건 갈대 뿐이다.
                        상강(霜降)
                        서리발 차가운 칼날 앞에서
                        꽃은 꽃끼리, 잎은 잎끼리
                        맨땅에
                        스스로 목숨을 던지지만
                        갈대는 호올로 빈 하늘을 우러러
                        시대를 통곡한다.
                        시들어 썩끼보다
                        말라 부서지기를 택하는 그의
                        인동(忍冬),
                        갈대는
                        목숨들이 가장 낮은 땅을 찾아
                        몸을 눕힐 때
                        오히려 하늘을 향해 선다.


 



                    

                                                                        억새밭 사이에 앙증맞게 열매맺은 요녀석의 자태는 내,긴장감을 풀어주었다.

 

 

                                                                                                                                 2016.11.10. 대구수목원 습지원에서 ...  하기

 

 


'걷고 타고 담았다 > 숲&풍경&바다 '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월에 찾은 메타세콰이어 길  (0) 2016.12.19
11월에 찾은 메타세콰이어 길  (0) 2016.11.15
국화   (0) 2016.11.13
대구수목원  (0) 2016.11.13
아! 가을  (0) 2016.11.09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