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 일기
ㅡ 이 구 락 ㅡ
햇살은 낮은 목소리로, 바람은 따뜻한 걸음으로 하오의 언덕 넘어 왔다.
먼 데 사람 생각나는 초가을, 잘 익어가는 잡목숲 속 조그만 바위 위에 앉아 있었다.
―키큰상수리 나무사이 생각에 잠긴 새털구름 바라보고 파이프를 두번이나 청소하고
앉은채 바지단추 열고 오줌도 길게누고 오래숨 멈추고 싸리나무가들
국화에게 수작거는소리 엿듣기도하고 가까이서 들리는 새소리에 화들짝 정신들기도하고
성냥 개비끝 다듬어 아무도 모르게 그리운이름 아까시잎 뒷면에 가만히
써 두기도 하고―
이윽고 새소리 그치고 날빛 흐려 저문 산 마주보며 내려왔다.
내려오며 두 번을 돌멩이에 걸려 휘청거렸고, 다섯 번을 뒤돌아보았다.
마을로 가는 굽은 길 끝엔 흐린 별빛 두어 점 풀잎 위에 앉아 있었다.
시 평
‘낮은 목소리’와 ‘따뜻한 걸음’의 주어가 바뀐 건 아닌가.
햇살에 어찌 ‘목소리’가 있겠으며 초가을 바람의 걸음에 어찌 ‘따뜻함’이 있으랴.
전도된 감각. 멀쩡한 사람에게도 감각의 교란이 생길 수 있는 계절이 가을이다.
‘싸리나무가 들국화에게 수작거는소리 엿들을 수 있을 정도로 감각이 예민해지는 계절이다.
그렇기에 우리 일상은 자주‘돌멩이에 걸려 휘청거’릴 수밖에 없는 것.
휴일에 산을 올랐으면 운동이나 하고 바로 내려올 것이지 어쩌자고
날 저물도록 넋 놓고 옛 생각에 젖어드시는가. 아무리 떠올려 봐도
단 한 발자국도 과거로 돌아갈 수 없는데 우리는 왜 자꾸 옛일에 집착하는가.
옛사랑이 떠오르거들랑 ‘바지단추열고오줌’ 한번 길게 누고 산을 내려오자.
새털구름에 맡겨둔 정신을 화들짝 찾아오자. 된장찌개 보글보글 끓는 저녁 식탁으로.
시인 장옥관
이 가을, 참 많은게 변하며 지나간다. 그렇게 뻘뻘 거리며 쏴 다니던 모든것을,올
스톱 시켰다. 활발했던 모습을 접고 나는 지금 하는 나에 일을 스스로 선택후 열심
히 하고있다. 누가 뭐라해도 그 당당했던 내 모습 버리고 지금의 나를 만들고 있다
내 평생 세번째 직업을 과감하게 선택한 나로서는 몇년간을 하려고한다. 물론 많
은 어려운점이야 있겠지만 참으려 한다. 그것이 건강에도 좋고 내 하고픈 것을 스
스럼 없이 할수도 있고 넉넉한 효과도 분명 있을테니까.....한동안 참석을 못해야 하는
여러 모임들이 마냥 아쉬워도 지금으로서는 어쩔도리가 없다. "그걸 모르고 이 일을
선택 했다면 집에 가셔야죠" 하는 여직원의 다부진 얘기에 설레설레 머리를 저으며
그래도, 그래 맞다고 수궁을 해버렸다. 어찌보면 그게 나약 해진 내 진짜 모습일거다
이제 가을이 갔다.이제 그녀석도 보내야겠다.그리고 을씨년스런 찬 겨울을 당당히
맞이해야겠다.그리고 웃으면서 가끔 지난날을 종종 생각도 하면서 살아가야지.....
2008.11.20 하기
'좋은글 · 詩 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입다문 時間의 표정 / 서지월 (0) | 2008.11.27 |
---|---|
꼬막 한접시 행복 한 사발 (0) | 2008.11.25 |
가을 지금 떠나려는가 (0) | 2008.11.17 |
해 후 (0) | 2008.11.08 |
장옥관의 시와 함께 ㅡ 행복 ㅡ 김종삼 (0) | 2008.10.30 |
댓글